d라이브러리
"바이러스"(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과학동아 l1991년 06호
- 같이 구분된다. 원생식물(박테리아 방선균 진균 등) 원생동물 스피로헤타 리켓치아 바이러스 등이다. 이중에서 박테리아는 단세포식물의 대표적인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알다시피 박테리아는 그람(Gram) 염색법에 의해 염색되느냐 염색되지 않느냐에 따라 그람양성(+)군과 ...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주목적으로 한다. 현재 동호회 자료실에 올라있는 공개소프트웨어는 통신프로그램 바이러스백신 등 2백여종. 회원층은 초보에서 중급 정도가 대부분이고 연령적으로는 대학생이 50-60%를 점해 압도적으로 많다. "PC통신을 통해 상업용 프로그램을 주고받는 풍토는 사라져야 합니다. 일부 BBS에서 ... ...
- 가축의 전염병이 야생동물에게 전파돼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집개의 치명적인 전염병인 디스템퍼가 들개에게 전염됐고, 1978년에는 치사율이 높은 파보바이러스가, 그리고 지금은 빠른 전염성을 가진 광견병이 들개들을 위기국면으로 몰아넣고 있다.케냐 국립박물관의 유전학자 피터 캣은 들개를 구하기 위해 그들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89년 초 캣과 ...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상황은 특히 지독하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이것이 공해때문인지, 아니면 막대한 바이러스균의 존재나 양분생산의 절대적 위기, 혹은 그밖의 다른 무엇 때문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다"고 아귈라 박사는 말한다.정확히 얼마나 많은 돌고래가 죽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몇몇 생물학자들은 ...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알다시피 20세기의 흑사병으로 불리는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은 바이러스가 면역세포에 침입, 항체의 생성 능력을 파괴함으로써 생기는 병이다. 즉 항체 결핍을 초래해 궁극적으로는 항원에 의한 방어력을 상실시키는 것이다.한편 조절단백질(regulatory protein)의 예로는 ...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적어도 3주동안은 헌혈을 하지 말아야 한다. 백신을 통해 공혈자의 몸속으로 들어간 바이러스가 '병약한' 수혈자에게 재차 건너가면 큰일이기 때문이다.수혈을 통해 잘 전파되는 세균으로는 파상열을 일으키는 브루셀라와 매독이 있다. 매독균의 전파는 공혈자 혈액에 대한 혈청검사를 함으로써 ...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있다. 이런 거름막들은 대장균 같은(크기가 대략 1㎛) 세균류는 모두 걸러버릴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보다 더 작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투과된다.이외에도 작업과정을 계속 감시하기 위한 현미경(비디오카메라 부착), 가공후 정밀검사를 위한 주사형 투과 현미경(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배율 10만~ ...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독감에 걸릴 위험성이 큰 사람들은 독감 예방접종을 매년 받는 것이 좋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원성이 매년 바뀌기 때문에 항상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백신을 맞아야 하는데 그렇더라도 독감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고는 확언할 수 없다(백신접종을 받은 사람의 50~80%가 효과를 보고 있다). 설령 ...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연구에 임하는 태도를 가지게 했음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현재 이들은 다른 바이러스진단시약의 개발, 치료시약에 대한 연구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고 부지를 매입해 연구소확장도 계획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다른 동료들을 자극해 분위기를 활성화시켜 놓았다.마르크스주의자들은 ...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과학동아 l1991년 02호
- AIDS에 관한 연구는 백신 개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데 돌연변이율이 엄청나게 높은 AIDS바이러스의 껍질단백질(coat protein) 대신에 돌연변이율이 거의 없는 구심단백질(core protein)을 대상으로한 백신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유전공학이 가져온 혁명두번째로 소개하고자하는 분야는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