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치"(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 1 PC, 생활필수품으로과학동아 l1995년 02호
-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 뛰어들었고 IBM호환기종이 득세했을 때에도 PC는 회사의 복잡한 수치들을 처리하는데 주로 사용됐다(미국에서는 지금도 로터스 123와 같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 가장 큰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의 하모니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PC는 그 기능을 한층 ... ...
- 세계 최대 전자도서관-이용료 비싼게 흠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제공하는 정보의 형태는 크게 네가지로 나뉜다. 즉 서지사항(bibliological), 명부(directory), 수치통계(statistical), 그리고 전문(complete text) 형태가 있다. 첫째 서지사항은 흔히 도서관의 색인 카드를 생각하면 된다. 다만 여기에 초록이 첨부돼 있다는 게 차이. 명부는 전화번호부나 인명부의 형태다. 전 ...
- 우주나이 80억년, 새 표준모델 필요과학동아 l1995년 02호
- 관계에 있고, 허블상수는 이들 물리량을 대표해서 우주모형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하는 수치이다. 다음 내용은 얼마 전 새롭게 쟁점으로 떠오른 허블상수와 관련된 두가지 관측 결과다.미국 국립천문대(NOAO)의 피어스(Michael J. Pierce) 등은 캐나다-프랑스-하와이망원경 (CFHT)을 이용해서 처녀자리은하단 ... ...
- 유전자 알고리듬 이용, 전자공학의 새 시대 연다과학동아 l1995년 02호
- 한창 연구가 진행중인 여러 전자공학적 문제 해결방법, 이를테면 전문가 시스템이나 수치 해석 방법 등과 병행해 사용할 수도 있다.그렇다면 간단한 유전 알고리듬이 어떻게 복잡한 문제에 적용돼 문제의 최적해를 찾을 수 있을까. 유전 알고리듬이 해를 찾는 과정을 분석해보면, 인간의 아이디어 ... ...
- 2 홈PC 가족 모두 함께 즐기려면··과학동아 l1995년 02호
- PC가 가족을 위해 봉사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컴맹'이란 말이 문맹에 버금가는 수치거리로 여겨지는 세상이라지만, 실제 우리 주변에서 '저는 컴퓨터를 하나도 모르는데요'를 연발하며 시대에 뒤떨어진 자신을 실토하는 이들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이들이 내세우는 까막눈의 이유는 대개 ... ...
- 일본 과학기술 앞날 심각한 위기과학동아 l1995년 02호
- 92년에는 각각 13%와 8%로 점점 떨어지고 있는 편. 반면 일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이 수치가 성장하고 있다고 백서는 밝히고 있다.일본의 연구력은 최근들어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이유는 대외 경쟁력에서도 밀릴 뿐만 아니라 일본 국내에서의 경기 후퇴로 예산이 깎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 ...
- 5 지능 결정요인, 유전인가 환경인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80%, 환경은 20%의 분산이 얻어 졌다고 보고했다. 분산이란 표준편차의 제곱이므로 이 수치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지능은 유전에 의해서 환경의 2배의 영향을 받음을 뜻한다.반대로 유전보다는 환경조건이 지능의 높낮이를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는 주장도 있다. 미국 프린스턴대 ...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가진 단기 기상예보가 가능해진다(2006).7. 대기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예측을 위한 수치 모델이 개발된다(2000).8. 지구를 둘러싼 오존층의 형성 변동 소멸기구가 해명된다(2005).9. 3-6시간의 선행 시간을 가지는 집중 호우 예보시스템이 전국적으로 구축된다(2000).10. 예보 정확률이 80%를 상회하는 ...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중이다. '관망파'들은 중도적인 입장에서 1백50억 년 전이라고 말한다. 우주론에서 나오는 수치들은 이처럼 부정확한 것들이다.태초의 우주는 엄청나게 밀도가 크고 무지막지하게 뜨거워야 했다. 그 상태에서 대폭발을 일으켜 팽창우주가 되었다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설로 자리잡고 있다. 태초 후 ... ...
- 2 IQ 검사 왜 하는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그러므로 분류수법이 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그의 철학과는 달리 지능검사는 '수치화'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서열화'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측정가능하다는 것은 측정되는 무엇인가가 존재할 것을 기대케 한다. 많은 심리학자는 이 부작용을 생각지 못하고, 지능검사를 옳지 못한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