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20년 뒤에는 어떤 첨단기술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도로, 운전자가 졸고 있거나 의식을 잃은 것은 아닌지 실시간으로 확인해 경고하는 비상
시스템
, 2차원 사진과 영상을 완벽한 3차원 영상으로 만드는 기술 등이 여기 포함됐어요.전문가들은 이 기술 중에서 519가지는 앞으로 10년 안에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또 294가지는 실제로 보급될 ... ...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떠 있는 작은 도시라고 할 수 있어.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기술로 첨단 폐수 정화
시스템
을 갖추고, 에너지 효율도 높였단다.여수EXPO 체험 베스트 4뿌웅~!(뱃고동 소리)오매나~, 깜짝이야! 무슨 방귀 소리가 겁나게 크다냐~.스카이타워 파이프오르간을 흉내 냈어요. 이번엔 모두가 즐길 수 있는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1W 생성 비용을 0.5달러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다. 하지만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의
시스템
과 부품을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혹시나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는 아닐까. 최 교수는 알록달록한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같기도 한 그림의 정체는 나노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역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미 13개의 GPS 위성을 발사했다.우리나라가 독자적인 GPS
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은 현재 불가능하다. 최소 4개 이상의 GPS 위성을 쏘아올려야 하지만 이 정도 큰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발사체, 즉 로켓이 없기 때문이다.그러나 차세대 한국형 우주발사체는 1.5t급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이 기사는 정확히 말하자면 스마트폰 속의 상대성 이론이라기보다는 GPS 위성과 GPS 수신
시스템
사이의 상대성 이론에 대해 설명했다. 물론 스마트폰의 GPS 기능 때문에 무척 편리해진 요즘 생활을 고려하자면 스마트폰을 언급하는 게 틀린 건 아니다. 기사에 따르면 지상의 GPS 수신기와 GPS 위성과의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모듈이 많을수록 정교한 글씨체가 되겠지요.이렇게 모듈을 정하면 글씨체를 만드는
시스템
에 의해 글씨체 개발이 완성됩니다.직접 개발하신 한글 글씨체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도로표지판에 쓰는 한길체가 있습니다. 올해부터 전국의 모든 도로 표지판이 한길체로 바뀔 예정이에요. 이미 ... ...
안전 불 밝히는 ‘안개 가로등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이렇게 하면 안개가 자욱하더라도 앞차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어요. 이
시스템
은 안개가 자주 끼어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제주 평화로 2㎞ 구간에 설치했답니다 ... ...
내장형 저전력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최적화하는 실시간운영체제 등을 공부한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내장형 저전력
시스템
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화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의 일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에 기기 자체(하드웨어)에 의한 전력소모를 줄이면 전체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215초다. 이 때는 위성을 감싸고 있는 페어링이 분리되는 시점이다. 앞서 언급한 저전압
시스템
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대다.페어링이 정상적으로 분리된 후 395초 지점에서는 2단 킥모터의 점화가 이뤄진다. 1차 발사 때도 무리 없이 진행됐기 때문에 우려할 요소가 많지 않다. 발사 후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황 교수는 벨기에의 미라 프로젝트와 협력해 연구를 검증할 계획이다. 납-비스무스 냉각
시스템
의 안정성과 기능을 실험하기 위한 ‘헬리오스’와 납-비스무스냉각고속로를 소형모듈화한 ‘우라누스’가 황 교수팀의 작품이다. 여기에는 미라와 달리 가속기가 빠져 있다. 황 교수는 “가속기가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