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재밌었어요. 학교축제 때 다른 학교 친구들에게 어텀구조물의 원리와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며 함께 만들었던 게 기억에 남았거든요. 만드는 데 오래 걸렸지만 뿌듯했어요. "- 3학년 손주석 수학 체험이 중요한 건 수학에 재능이 없다고 생각한 학생도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 ...
- 놓고, 밀고, 넘어라! 9명의 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여러 가지 모리스9명의 모리스뿐 아니라 3, 6, 12명의 모리스도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을 각각 3, 6, 12개 갖고 시작합니다. 말의 수가 적은데 점이 24개나 있으면 게임이 싱겁게 끝나버리니까, 판의 모양도 조금씩 다릅니다. 규칙도 조금씩 다르고요. 먼저 3명의 모리스는 위의 첫 번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특히 ‘청딱따구리’는 우리가 볼 수 있는 딱따구리 중 가장 덩치가 크지요.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청딱따구리는 등이 연한 녹색을 띠고 있답니다.” 이밖에도 올리브색 등을 가진 박새, 턱수염을 가진 쇠박새, 붉은 뺨을 가진 직박구리 등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새들의 모습과 특징에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관은 다르지만 10년 뒤 동성애를 고민하는 사춘기 청소년의 비율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영화와 TV 등 대중매체(53.6%)와 동성애자 연예인(19.3%)을 통해 동성애에 대해 인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의 발달 단계에서 젠더를 인식하는 시기는 두 번이다. 바로 유아기와 사춘기다. 3~5세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박 입학부장은 “자기소개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작성했는지 아닌지 바로 알 수 있다”며 “중학교 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본인 말투로 자연스럽게 적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류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면담이다. 경기북과학고의 경우 서류평가 대상을 학교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비슷한 차집합, 그리고 교집합이나 여집합 같은 연산도 있습니다. BJ맹추는 아주 잘 알고 있지만, 하나하나 설명하기엔 여백이 모자라니 궁금한 사람은 오른쪽 그림을 참고 하시길! 벤이-그린-집합-그림, 벤 다이어그램! 소설보다 만화책이 읽기 쉬운 이유는 바로 그림이 있기 때문이죠. 함수는 ...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클수록 오래 걸린다고 가정했지요. 연구팀은 정보 공유가 어떤 효과를 불러 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낚시꾼을 추가로 배치했습니다. 한 낚시꾼이 물고기를 낚으면 주변 낚시꾼이 달려오도록 설정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결과를 비교한 겁니다. 고독한 낚시꾼은 대구밖에 못잡는다?그 결과 ...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공식을 외워 쓰는 단순 계산만으로는 수학의 진수를 알 수 없어요. 두뇌의 성장 속도에 맞춰 단계별로 적합한 수학을 배워야 하지요. 선행학습보다는 학교 교과과정에 따르는 게 좋고, 공식을 암기하는 것보다 한 문제라도 스스로 생각해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조각은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에서처럼 넓이가 정의되지 않는 이상한 형태입니다. 넓이를 알 수 있는 조각으로 원을 나눠 정사각형을 만들 수는 없을까요? 2017년 3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수학계 최고 학술지 중 하나인 수학연보에 실렸습니다. 영국 랭카스터대학교의 루카스츠 그라보브슈키 박사,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계산해 보세요. f (3)=3+1=4니까 진호(3)는 4에 해당하는 아메리카노를 골랐다는 걸 곧장 알 수 있잖아요! 이때 x는 번호 1, 2, 3 중 어떤 수로든 변할 수 있으니까 특별히 ‘변수’라고 부르고, x와 ‘관계’있는 수 f (x)를 함숫값이라고 불러요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