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이
아동
아이
어린시절
시절
소아
유아
d라이브러리
"
어린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밖에 나간 사람은 한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우리에겐 그 곳이 미답의 세계인 동시에 선망
어린
신천지일 수 밖에 없다. 가까운 미래에 국산 우주망원경이 궤도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그려본다. PC통신에는 그 진행상황과 관측결과가 '한글 윈도우'로 소개될 것이고 외국인들에게도 '명예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영양생장기가 짧고 개화결실이 되는 생식생장기가 길다. 영양생장기가 짧다는 것은
어린
개체에서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며 바로 생식생장기에 들어가서 생장과 더불어 연속적인 개화결실이 진행된다는 뜻이다. '미국외풀'은 논이나 논둑에 있는 식물로 발아된 후 21일이 지나면 종자를 만들어내는 ... ...
3 초중고 집중지원, 미래를 걸어라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14%이며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12%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진다.
어린
문맹들을 깨우쳐주어야 할 교사들이 대부분 컴퓨터 문맹이라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그러나 이같은 상황이 쉽게 개선될 것 같지는 않다. 컴퓨터교사를 양성해야할 공식 기관인 사범대학이나 교육 ... ...
2 '에듀테인먼트' 개발, 놀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갖가지 관련된 현상이 모니터에 동화상으로 나타나며 혼자 자연 산수 공부를 할 수 있다.'
어린
왕자와 신나는 우주여행'은 지구와 태양계 행성들에 대한 풍부한 자료와 뛰어난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있는 우주과학 프로그램이다. '나의 천국'은 점 선 면 3차원 물체들을 이용한 놀이를 통해 ... ...
어린
왕자와 신나는 우주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내용과 태양과의 거리 행성의 크기 질량 위성수 등과 같은 기본적인 천문학적 지식을
어린
왕자와 여우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태양계 내의 9개 행성중 이미 충분한 정보가 확보된 지구 화성 목성은 자료를 십분 활용해 심화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데, 지구편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과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밀도가 높아진다. 밀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붕괴하는 구름 가운데서 별들이 형성된다.
어린
별들이 내는 빛과 그 주위의 구름이 반사하는 빛이 밀도파가 통과해가는 외각부분을 형성한다고 보면 된다(그림3).밀도파 모델이 은하의 나선 구조를 설명하는 유일한 모델은 아니다. 은하나 은하의 생성에 ... ...
3 홈PC 기본 소프트웨어 가이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가지고 있다. 사용하기 어려운 제품은 일단 보급되기 힘들다. 따라서 홈PC의 사용층을
어린
아이부터 노년층까지 확대해주는 열쇠는 바로 사용의 간편성에 달려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94년을 시작으로 외국에서는 CD-롬을 활용한 홈PC용 소프트웨어가 대거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의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많은 수소구름으로 이루어진 흐릿한 은하들이 있으며, 우리은하 중심핵에서는 매우 나이
어린
별떼들이, 나이를 1백억년 쯤 먹은 외부은하에서도 아주 젊은 구상성단들이 발견되었다. 준정상우주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새로 만들어진 물질로부터 갓 태어난 천체들이라고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하나다. 우리가 가장 관심있는 것 중 하나이면서도 실제로는 거의 아는 바가 없다. 가령
어린
아이가 "남자가 뭐고 여자가 뭐야?"라고만 물어도 쉽게 대답할 말이 떠오르지 않는다. 더군다나 한참 호기심 많고 영특한 아이가 한발 더 나아가 "그게 왜 있어?" 혹은 "그런데 왜 남자하고 여자하고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바 대로 현재 가장 빠르게 정보를 처리하는 슈퍼 컴퓨터 조차 대상을 인식하는 능력이
어린
아이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함을 생각할 때 병렬처리는 지능적인 판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두뇌는 하드웨어적으로는 매우 느리나 약 1백만개에 이르는 신경섬유가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에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