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그런데 이제 우리도 가능하게 됐어요. 실험과
이론
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이론
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온 거예요.”김 팀장은 인터뷰 끝에 “개인적으로 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인 양자색역학(QCD)의 감금 문제에도 관심이 많다”며 “언젠가 가속기로 연구할 날이 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 ...
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119년의 역사를 정리해 봤다. 검은색은 입자 자체를 발견한 역사다. 파란색은 관련한
이론
의 발전사다.붉은색은 주요한 실험장비, 특히 입자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가속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받는다. 하지만 비판도 있다. 한 물리학계의 원로는 “액시온은 매우 뛰어나지만 틀린
이론
”이라며 날선 지적을 했다. 김 교수는 느긋하다.“암흑물질의 후보는 많습니다. 자연이 무엇을 택할지는 실험을 해봐야 알겠지요.” 세메르치디스 단장도 특유의 부드러운 목소리로 “암흑물질의 정체가 ... ...
생명체 핵심 원소 인(P),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져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만들어져 우주로 퍼져 나가는 ‘인’의 기원이 확인됐다”며 “관측된 인의 양이
이론
이 예측한 값과도 부합하는 만큼, 이번 결과는 별의 폭발과 최종 진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일이 우리의 상식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 문제다.양자역학은 전자의 운동을 설명하는
이론
우선 원자가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살펴보자. 원자는 양의 전하를 띄는 원자핵과 음의 전하를 띄는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자핵은 그 크기가 원자의 10만분의 1에 ... ...
[매스미디어] 중간 세계를 구하라!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이와 비슷한 문제를 연구하다가 ‘그래프
이론
’이라는 새로운 수학 분야를 만들어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에 있는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서 모든 다리를 다 지나는 경로가 있을지 알아보다가 그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존재니까요.”나에게 반응한다?! 착생식물원알레프 프로젝트에는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
’이 적용된 작품들이 다채롭게 전시되어 있다. 특히, 웅장한 모습의 에 많은 관람객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독자기자들은 알레프 프로젝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위해 차례대로 작품을 관람해 ... ...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상상한 기하 공간이 우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에 따르면 우주 공간 자체는 휘어져 있는데, 유클리드 기하학은 휘어진 공간에서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새로운 기하학이 싹트기 시작했고, 이것이 바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다.비유클리드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궁극적인
이론
또는 최종
이론
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2500년도 넘는 인CERN류의 수수께끼에 일차적인 종지부를 찍었기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만들어 신경계에 피해를 입히고, 면역세포를 파괴해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부분은
이론
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얼마나 자기장이 세야 위험하느냐다.고압송전선과 암의 관계를 밝혀낸 첫 연구는 미국 콜로라도대 낸시 워데이머 박사와 에드 리퍼 박사에게서 나왔다. 그들은 1979년 고압송전선에서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