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터뷰"(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중 하나다. 수학과 교수님도 우리랑 같은 고민을 한다는 사실이 재밌다.겸손한 성격으로 인터뷰 내내 본인을 낮췄지만, 권 교수는 대한수학회에서 업적이 뛰어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은 유능한 수학자다.수학자 중에는 물리학이나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려다 ...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대표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귀여운 얼굴 덕분에 많은 동물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지! 동물들이 나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궁금하지? 나와 함께 동물원에 가 보면 알 수 있을 거야. 집사 푸푸와 함께 동물원으로 출발~!그런데 동물원에 나보다 예쁜 동물이 있네! 저건…, 꼬리털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히라타 나오시 도쿄대 교수도 9월 14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거리상 상관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번 지진은 그야말로 경주에 집중됐다. 전진은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본진은 그로부터 1km 남짓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구조를 규명해 노벨상을 탔다. 라마크리슈난 부소장은 2011년2011년 7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노벨상 업적을 낼 수 있었던 비결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꼽았다.연구실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로웨 그룹 리더와 연구원들. 그는 “LMB에 오기 전 미국 유타대에 있을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필요2015년 노벨물리학상을 탄 카지타 타카아키 일본 도쿄대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과 미국 정부가 거대 실험장치의 건설비를 지원한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슈퍼카미오칸데(위 사진)를 이용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처럼 콘트랙트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공지능은 밀렵꾼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 효율적인 순찰 계획을 짠다. 팡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PAWS는 밀렵꾼이 덫을 배치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즉 밀렵꾼의 행동모델을 스스로 만든다”고 설명했다.“동물의 밀도나 지형 정보, 그 지역에 순찰대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등 밀렵꾼이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거라고 해요. *아음속 : 소리의 속도인 음속보다 약간 느린 속도.음속은 시속 1224km다. 인터뷰 초고속열차, 10년 이내에 만날 수 있어요!_이관섭(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철도연구팀장) 하이퍼루프나 아음속 캡슐 트레인은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어요. 아마 10년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원 구조는 덩치만 클 뿐 내실은 없는 기형적인 구조였다. 연구자들은 한국의 국가 R&D 지원 구조가 과학자들의 사기를 꺾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가로막고 ... ...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멸종위기 못·친·소 지지자 중 10년째 를 보신 분이 있다고 해요. 바로 마라토너 이봉주 선수 가족이랍니다. 이봉주 선수의 아들인 우석이와 승진이는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빠져 있다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들어 봐요!올해 10년째 어과동을 보고 계시네요. 대단해요~!2007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근거를 알릴 필요가 있다”는 과학자들의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렌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우리의 이런 행동이 상황을 크게 바꿀 것이라고 확신하지는 못한다. GMO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한 것이 목표였다면, 아마 사람들의 감정을 이용하는 편이 더 쉬웠을 것이다.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