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몸속을 그려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퀼링 기법은 종이 조각의 크기, 마는 정도, 마는 방법을 마음대로 조절해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또한 종이 사이사이의 간격이나 튜브 중앙의 구멍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지요.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피부의 말랑한 질감이나, 척추 사이에 있는 구멍, 근육 섬유의 길쭉한 질감 등을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건 시기상조라고 경고하죠. 또 모기가 사라지면 먹이사슬이 끊어져 생태계에 혼란을 줄 수도 있을 거예요.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유전자 변형 모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시끌벅적 토론터에 남겨주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방사선을 피해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해야 했지요.이처럼 태양폭풍은 지구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어서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려면 태양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 아직은 많이 부족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탐사선을 보내 태양에 가까이 가서 시간과 위치에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높여 주지요. 물이 흐르는 워터슬라이드의 마찰은 물 없이 탔을 때보다 33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요. 따라서 일반 미끄럼틀을 탔을 때보다 더 큰 짜릿함을 느낄 수 있지요.최근에는 직선으로 떨어지는 워터슬라이드 대신 여러 번 꼬아진 워터슬라이드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그만큼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무를 좋아한다며?아르간 나무는 모로코에서 매우 중요해요. 염소의 먹이가 되어 줄 뿐만 아니라 숲을 이루어 사하라 사막으로부터 오는 모래나 먼지를 막아 주고, 식용유와 화장품의 원료가 되기 때문이지요. 특히 열매의 씨앗에서 추출한 아르간 오일은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아요.아르간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 귀찮아.” 하며 수박씨를 모두 골라내지 뭐야.귀찮다니! 우리가 얼마나 엄청난 가족인 줄 모르는군. 무려 40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뿌리 깊은 가문 출신이라구!수박은 원래 쓰다?!우리가 흔히 ‘수박’이라 부르는 과일은 모두 ‘시트룰러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ntus )’라는 종이에요. 본래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족과 상봉할 수 있었다며 감격했다. 기술은 이렇게 삶을 안전하고 윤택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어떤 이들에게는 크나큰 감동과 보람을 선사하기도 한다. 현재 연구팀은 나이변환 기술의 정확도를 올리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또 해상도가 낮은 CCTV 영상을 선명하게 만드는 기술도 개발하고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양념에 재워놓고, 새우는 껍질을 까놓으며, 야채도 미리 손질을 해놓는다. 손님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푸드트럭은 속도가 생명이라 현장 작업 과정은 최소화하는 게 보통이다. 그러면 현장 작업 과정은 왼쪽 순서도로 나타난다. 사장은 육즙과 마늘 향을 살리기 위해 큐브스테이크와 갈릭새우,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길이와 배꼽부터 머리 끝까지 길이의 비) 등 작품의 예술성이나, 해바라기 씨앗(두 줄로 박혀 있는 씨앗들의 개수의 비), 앵무조개 껍데기(나선형 구조로 가운데로 몰리면서 점차 좁아지는 폭의 비)를 설명할 때도 사용된다. 생명체부터 인공물까지 모든 존재의 아름다움을 황금비 하나로 설명하는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재앙을 가져올 수도 있어. 우리가 카메라로 찍어 준 사진과 영상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거라 믿어. 과학자들이 그걸 연구해서 우리가 남극에서 어떻게 적응해서 살아왔는지 파악하고, 조사 결과를 이용해서 환경이 변하면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함께 고민해주길 바라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