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방법"(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10월은 노벨상의 달이다. 과연 노벨상, 특히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은 어떤 인물일까. 예를 들어 노벨상 수상자들은 다른 사람에 비해 지능이 높았을까. 이들의 창의성은 어땠을까. 어떤 문제를 끝까지 해결해 내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은 높았을까. 최고의 노벨상을 받기까지 논문은 많이 발표했을까. ...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글 임병욱(인창고 국어교사), 이금수(중대부고 수학교사), 엄익주(재현고 물리교사), 김호성(영동고 화학교사), 윤태영(숭문고 생물교사), 신동원(휘문고 지구과학교사)오는 11월 10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다. 그 동안 열심히 공부한 수험생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 날이다. 최근 치러진 수능 모 ...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형, 아직도 뚫는 방법을 못 찾았어? 변기의 원리를 알면 해결된다며?수세식 변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는 소리가 있다고. 이것만 더 찾아보고. 야! 똥은 네가 쌌잖아. 너도 좀 알아봐. 왜 트랩은 구부러져 있을까? 관을 직선으로 만들면 변기가 막힐 염려도 없고 배설물이 위에서 아래로떨어져 훨 ...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독서의 계절 가을, 수학동아는 수학계에 몸담고 있는 전문가들의 수학책장을 열어 봤다. 전문가들이 최고로 꼽는 수학책과 책에 담긴 이야기 그리고 추천하는 이유를 함께 담았다. 책은 수학인물, 수학의 역사, 생활 속 수학, 학습 분야로 나눠서 소개한다.✚ 수학인물신현용 한국교원대 수학교육과 ...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줄기세포는 뇌, 혈관, 근육 등 우리 몸에 있는 모든 세포로 변할 수 있어 이미 망가진 조직을 대체할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세포는 이런 분화능력이 없다.최근 이 두 세포의 운명을 갈라놓는 원리가 발견됐다. 캐나다 토론토대 분자유전학과의 벤자민 블렌코 교수팀은 FOXP1 유전자가 두 종류 ...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도대체 과학은 배워서 어디에 쓰는 거야?’라고 생각하는 독자라면 이번 호에 실린 연구활동에 주목하세요. 교실에서 쉽게 할 수 있는 탐구활동도 결과를 잘 해석하면 이를 활용해 사회적 문제를 나름대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해결 방법 찾기에 도전합시다. ※ 이 코너에서는 생활 속에서 ...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최근 개인정보 해킹과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빈번하다. 미국 MIT에서 발표한 기사에 따르면 해커들이 첨단영상기기를 이용해 은행비밀번호를 알아낸다고 한다. The secret codes typed in by banking customers can be recorded using the residual heat left behind on the keypad ...
- 세계적인 깡통 예술가, '캐니 조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네, 발명뉴스 시간입니다. 오늘은 세계 캔 쌓기 대회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현장에 나가 있는 나 기자를 불러 보겠습니다. 나 기자~!”캔 쌓기 대회는 수만 개의 통조림 캔을 이용해 예술작품을 만드는 대회로, 어마어마한 상금은 우승자의 이름으로 불우이웃 돕기에 쓰인다.“네~, 저는 지금 프 ...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작년 6월 생물학계에서 큰 일이 있었다.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팀은 ‘마이코플라스마 마이코이데스’라는 세균의 전체 게놈을 실험실에 있는 화학약품으로 합성했다. 연구팀이 합성한 게놈(synthetic genome)을 세균(원래 게놈은 미리 제거했다)에 다시 넣자 그 세균은 생명활동을 계속 유지했다. ...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상담을 신청해오는 학생들의 사연을 보면, 아직까지 꿈을 못정한 학생들이 대다수입니다. 꿈이 있다고 하더라도 부모님의 강요로 정했거나, 돈을 많이 벌기 위한 ‘직업’을 고른 경우가 다반사죠. 꿈을 정하는 건, 지금 자신의 노력을 이끌어낼 원동력을 찾는 길입니다. 이번 호에 소개하는 두 사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