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학"(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로잡은 ‘패턴’에 대해 깊이 있게 알 수 있다. 진짜 과학은 교과서처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으로 단순하게 나누기에는 지나치게 방대하다. 사이언스북스가 추구하는 것은 유명한 과학이 아니라 진짜 과학이자 살아있는 과학이다. 사이언스북스를 이끄는 노의상 편집장은 “새로운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쉽게 중독되냐고? 스마트폰에 집중하면 뇌에서 행복하고 만족한다고 느끼게 하는 신경화학물질인 도파민이 계속 분비돼. 이 도파민은 정확하게 판단하고 충동적인 생각이나 활동을 조절하는 뇌의 전두엽을 계속 자극하면서 전두엽의 기능을 떨어뜨리지. 전두엽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서 뇌가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 어려운 곳 에서는 액체 메탄이 대신할 수 있다. 온도가 낮아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좋은 조건은 아 니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우주의 생명은 얼마든지 다양 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메탄을 사용하는 생명체 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없던 새로운 생명체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화학과 플로이드 롬스버그 박사팀은 DNA에 2개의 인공 염기를 지닌 새로운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7일자에 발표했다.세포핵 안에는 유전 정보가 든 DNA가 있다. DNA 가닥에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 등 4가지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입고 실험실에 계신데, 그게 그렇게 신비로울 수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에 들어갔지요. 또 유학을 준비하면서 잠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한 적이 있는데, 거기에서 연료전지라는 말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그때가 25년 전이니, 국내에는 아는 사람이 아무도 ... ...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달리는 수소버스예요. 수소자동차에 있는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가 만나 물을 만드는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만들어내는 장치예요. 이 반응에서 생긴 전기에너지로 모터를 움직여 수소자동차가 달리는 거랍니다. 수소와 산소의 반응으로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소자동차의 배출 물질은 ... ...
- 양자역학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리튬과 나트륨(소듐), 칼륨(포타슘)은 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지 등을 밝힐 수 있다. 화학자들이 수백 년 동안 만들어낸 원자 주기율표를 양자역학은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준다.당신은 양자역학 덕분에 숨을 쉰다대부분의 원자는 전자를 여러 개 갖고 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전자가 존재 할 수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가우스는 “수학은 과학의 여왕이다”고 말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천문학 등으로 세분화된 과학의 밑바탕에는 수학이 있다는 의미다. 처음에 수학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 팔 때 계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꾸준히 발전되어 온 결과 현재는 경영학과 ... ...
- 유전자는 몰라~ 네안데르탈인 덩치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유전자를 켜고 끄는 스위치 중 ‘메틸화’라는 화학반응에 주목했다. DNA에 메틸화가 일어나면 그 유전자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꺼지는데, 이를 통해 세포는 다른 세포로 분화해 신체나 세포의 특성을 바꾼다.연구팀은 3만 년 전에 살았던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2) 어떤 기초학문이 특히 중요한가요?A 재료공학부는 모든 학문이 연결되어 있어요. 물리, 화학, 생물, 즉 자연과학은 기본적으로 다 알아야합니다. 당연히 자신이 연구하는 재료에 쓰이는 분자에 대해 잘 이해해야겠죠? 한 단계 더 응용하려면 기계공학, 전기공학 등 관련 공학을 공부해야합니다.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