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99건 검색되었습니다.
팬데믹에 급증한 일회용마스크, 이차전지 소재로 '새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10.18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안광진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마스크 폐기물로부터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해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도전재로 활용하는 공정을 개발, 국제 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에 지난 9월 11일 게재했다고 18일 밝혔다. 논문은 학술지의 ... ...
[과기원NOW] KAIST, 식약처와 식품·의약품·마약류 연구 협력 강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상현 로봇및기계전자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병리학 영상에서 세포핵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대략적인 세포핵 레이블링 만으로 겹쳐있는 세포핵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병리영상 ... ...
의대 정원 확충 '초읽기'..."필수의료 기피·의대 쏠림 해법 제시해야"
2023.10.17
대부분이 의약학 계열로 빠져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방 소재 과학기술원 기계
공학
과 학장을 맡고 있는 A교수는 "국내 영재학교와 과학고 전체 정원이 3000명인데 이런 인재들이 모두 의약학 계열을 선택한다고 생각하면 정말 아찔하다"고 말했다. 이공계 학생들의 규모 자체가 줄어들면서 ... ...
리튬금속전지 안전성 높였다...무음극 집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오세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열표면처리연구부문 선임연구원(왼쪽)과 류원희 숙명여대 화공생명
공학
부 교수. 생기연 제공. 차세대 리튬금속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 과전압도 50%가량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8월 14일 국제학술지 ‘화학
공학
’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전기차 배터리 화재 예방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자체의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교신저자인 송현곤 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UNIST 연구팀이 전기화학 관련 부분을, 한국화학연구원 정밀화학연구센터가 고분자의 합성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 연구개발센터는 배터리의 안전성 실험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100경분의 1초 뛰어넘는 '젭토초' 바라본다
2023.10.17
의해 DNA가 손상되는 아주 짧은 순간까지 관찰할 수 있다. 그 밖에 반도체와 같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아토초 펄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노벨상이 발표될 때면 대한민국의 현실을 되돌아 보게 된다. 아고스티니 교수가 ‘문턱 넘는 이온화’ 실험을 수행하고 ... ...
의대 정원 확대 기류에 KAIST·포스텍도 '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0병상 규모의 초대형 병원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포스텍은 세계 최초로
공학
과 의학을 융합한 미국 일리노이 의대 교육과정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KAIST와 마찬가지로 8년 간의 복합학위 과정이다. 부속병원은 2028년까지 1단계 500병상, 2단계 400병상 규모의 스마트병원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모운지 바웬디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냈다. 2010년부터 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
과에서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새로운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 합성 연구 및 합성된 양자점 기반 진단키트, 바이오이미징 등의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색 변화로 공기 속 병원성 박테리아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게티이미지 국내 연구진이 공기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원성 박테리아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임은경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현 ... 최신호에 게재됐다. 공기 중 병원성 박테리아 현장 진단 플랫폼 모식도.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 ...
불멸의 세포 '헬라 세포' 70여 년 만에 보상받는다
과학동아
l
2023.10.14
헬라 세포라 불린다. 지난 8월 1일(현지시간) 헬라 세포를 무단으로 판매한 미국의 생명
공학
기업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랙스의 유족에게 보상을 해주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BBC, 로이터 등 외신을 통해 알려졌다. 헬라 세포의 역사는 1951년 미국 존스홉킨스 병원에서 시작됐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