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선임"(으)로 총 2,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과학동아 l2018.04.17
- 기존 MLP에서 볼 수 없었던 작은 고리모양의 독특한 구조를 발견했다. 줄리 샤프 디킨대 선임연구원은 “MLP가 슈퍼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며 “오리너구리가 모유를 먹이는 독특한 방식 덕분에 특이한 항균 능력을 가진 단백질이 발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07/S205323 ... ...
-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04.16
- 확인할 수 있다. 라만분광분석은 라만산란을 이용해 분자를 감별하는 방법이다. 정 선임연구원은 “라만분석은 휴대용 기기로도 가능한 만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잔류 농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2~3년 내 상용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doi: 10.1021/acsami.8b0147 ... ...
- 표준연, 백년의 난제 ‘플라스마 히스테리시스’ 현상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8.04.12
- 생산장비 외부 조건을 변경하는 등 제어법을 개발해 실험으로 입증했다. 이효창 선임연구원은 “플라스마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장비를 개발할 수 있을 것”며 “소자 기술뿐 아니라 장비 생신 기술도 한국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3월 ... ...
- 핵 사찰하고 원전 해체하는 원자력 로봇, 한국이 국제표준 주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신설됐다. 초대 의장에는 IEC에 이 워킹그룹을 제안한 구인수 원자력연 책임연구원이 선임됐다. 워킹그룹은 원자력연을 중심으로 향후 2년간 원자력 로봇의 안전 및 성능 기준을 개발한다. 이는 핵 사찰 등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원자로 해체, 제염 작업까지 원자력 분야에서 로봇의 활용 ... ...
- 흰 딱정벌레 모방한 친환경 흰색 코팅제과학동아 l2018.04.10
- 만들어 하얀색을 띠게 하는 데 성공했다. 올림피아 오넬리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선임연구원은 “파란색을 띠는 몰포나비의 날개는 분자구조가 일정한 패턴을 지닌 게 핵심”이라며 “반면 하얀색을 띠려면 분자 구조가 무질서하게 무작위로 배열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 [단독] 학생연구원 권익보호 한다더니…양날의 검이 된 ‘근로계약 의무화’동아사이언스 l2018.04.05
- 체결한 학생들도 계약기간이 대부분 1년에 그치고 있다. A기관의 연구책임자 L 선임연구원은 “연구과제는 보통 2~5년 단위지만, 한번 근로계약을 맺으면 해당 기간 동안 인건비 부담이 커 단기 운영이 불가피하다”며 “연구책임자가 연구실 인건비의 일정 비율 이상을 연구과제 수주로 충당해야 ... ...
- 10번 이상 다시 쓰는 친환경 미세먼지 필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03
- 재사용 나노필터를 개발했다. 장세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응용복합연구센터 선임연구원 팀은 질화붕소나노튜브(BNNT) 소재를 이용해 미세한 기공에 걸린 지름 2.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이하의 미세먼지(PM2.5)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
- 넷마블, AI로 광고도둑 잡는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3.30
- 넷마블읜 AI 역량 강화를 위해 이준영 전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을 인공지능(AI)센터장에 선임하기도 했다. 이 센터장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IBM 왓슨연구소에서 근무하며 빅데이터, 클라우드, AI,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개발해온 인물이다 ... ...
- 외계행성 찾으러… 시야 400배 커진 우주망원경 뜬다동아사이언스 l2018.03.30
- 임무의 총괄책임자인 조지 리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카블리천체물리학우주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테스를 이용해 대기권을 가진 외계행성을 많이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테스(TESS)’는 지구를 중심으로 보이는 전체 하늘의 85%를 전방위적으로 관측한다. 케플러 ... ...
- 암흑물질 거의 없는 은하 첫 발견… 우주론 뒤집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3.30
- 이루는 별과 성단 등을 만들어내는 원천으로도 알려져 있다. 오세헌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은하가 질량 대비 얼마나 많은 별을 생성하는지는 은하의 탄생과 진화를 연구하는 학계의 최대 관심사다. 은하의 총 질량 대비 별의 질량을 연구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NGC 1052-DF2’ 은하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