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8,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글 도둑 막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08.04
신경숙 작가가 1996년에
발표
한 소설 ‘전설’이 일본인 작가 미시마 유키오가 1961년에
발표
한 소설 ‘우국’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신 작가는 몇몇 작품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을 뿐만 아니라 문학상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해 충격이 크다. 수학동아 8월호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기사 ... ...
몸속 ‘킬러 세포’의 본능 깨우는 알람은?
2015.08.04
바꾸는 ‘알람 단백질’의 작용을 찾아 ‘네이처 면역학(Nature Immunology)’ 3일자에
발표
했다. T세포를 깨우는 단백질 중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단백질은 ZAP-70이다. 이 단백질은 T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돌발적으로 붙는다. 단백질에 붙어있는 동안 수용체의 모양이 바뀌면 두번째 분자(Lck)가 ... ...
미래형 ‘전기비행기’ 시제품 나왔다
2015.08.03
대학원 1위 팀이 구상한 전기 비행기 ‘베이퍼(vapor)’.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소형 무인 항공기 크기로 밖에 만들 수 없었던 ‘전기비행기’를 조만간 사람이 탈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유인 전기비행기를 실제로 만들기 위한 기술디자인 대회가 미국항공우주국(NASA) 주최로 열렸다. NASA는 ‘ ... ...
화학전지+태양광=하이브리드 전지
2015.08.03
함께 쓰는 ‘하이브리드 전지’를 만드는 데 성공하고 ‘미국화학회지’ 1일자에
발표
했다. 태양전지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효율이 20%대에 불과해 아직까지는 대규모 전력망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소형 전자기기용 배터리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연구진은 태양전지의 ... ...
빛의 양 따라 알의 밝기 조절하는 노린재
2015.08.03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성분이라는 사실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23일자에
발표
했다. 현재까지 새나 곤충이 미묘하게 다른 색의 알을 낳는 사례가 밝혀진 적은 있지만, 이는 모체의 식이습관이나 나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린재처럼 외부 빛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12년이 지났으니 확인할 필요는 있을 것 같았다. 검색을 해보니 몇 차례 관련 연구가
발표
됐는데 예상대로 주류학계의 인정을 받은 상태는 아닌 것 같다. 그런데 7월 21일자 동영상이 하나 올라와 있다. YTN사이언스의 ‘이매진’이라는 과학강연쇼 프로그램인데 ‘왜 제3 순환계인가?’라는 ... ...
임신부가 ‘수학의 정석’ 푼다? 엇나간 태교 문화
2015.08.02
특히 태아가 주위 자극과 반응하며 지능이 높아지거나 건강해진다는 연구결과는 종종
발표
된다. 1997년 데블린(Devlin)은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쌍둥이, 형제 자매, 부모와 자녀의 IQ를 분석해 자궁 내 환경이 지능 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게재하기도 했다. 태내에서의 ... ...
필레가 보낸 7가지 메시지
2015.08.02
근육 내 에너지 분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
했다. 현재까지 골격근 내 에너지 분포는 대사체(메타볼라이트)의 확산을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대사체는 생명체가 먹고, 마시고, 소화하고, 배설하는 모든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지는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PCR을 하는 기술을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31일자에
발표
했다. 메르스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객담 등 샘플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가 있는지 실제로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유전자의 존재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유전자의 양을 수백만 배 ... ...
플라스틱으로 전기회로 만드는 방법 찾았다
2015.07.31
플라스틱 필름으로 그래핀 회로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ACS나노’ 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 김 교수팀은 플라스틱에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표면을 녹여 '그래핀'이란 신물질을 만드는 방법을 썼다. 그래핀은 얇은 평면 형태의 물질로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강철보다 200배 ... ...
이전
1685
1686
1687
1688
1689
1690
1691
1692
16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