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5,497건 검색되었습니다.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08
실험은 밀폐된 공간에서 두 눈을 가리고 진행됐으며, 측두엽을 자극하는 자기장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나오는 자기장과 비슷한 세기였다.측두엽과 환청, 그리고 자기장과학자들이 이처럼 귀신을 보는 현상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이런 연구 결과들이 정신과 질환을 진단, 치료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08
아름다운 색을 내는 이유는 표면에서 플라즈몬파가 공명하기 때문이다. 서울대 전기
컴퓨터
공학부 이병호 교수가 이끄는 액티브 플라즈모닉스 응용시스템연구단은 플라즈몬파를 이용해 광전자 집적회로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면 플라즈몬파를 이용해 처리속도가 현재보다 1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08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어서, 신호 전달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비도 적은 통신시스템이나
컴퓨터
를 만들 수 있다.박 교수는 “휴대전화나 시계에서 보듯이 낮은 전력에서 효율이 높은 LED는 많이 개발됐지만, 조명처럼 높은 전력에서 동작하는 LED는 효율이 절반 수준에 못 미친다”며 “높은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폴크 교수팀은 이에 대해 즉각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두개골 내부의 형태를 3차원 CT(
컴퓨터
단층촬영)로 재구성해 LB1의 형태가 이상소두증 환자보다 정상인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2007년 2월 13일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이상소두증 뇌는 정상 뇌에 비해 소뇌가 ... ...
차세대 검색기술이 바꿀 웹 세상
과학동아
l
200907
검색 결과에 대한 신뢰도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T 전문가들은 머지않아
컴퓨터
가 사람을 대신해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직접 가공도 해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지능형 웹’까지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이미지와 소리 정보도 검색에 활용빨간 사과 이미지를 찾고 싶을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07
‘분자·세포심장학저널’에 소개되기도 했다.현재 김 교수팀은 CIDMS에 쌓여 있는 정보를
컴퓨터
로 좀 더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런 프로그램이 더 발전하면 축적된 정보를 이용해 가상의 심장세포를 만들고 이를 임상시험에 활용할 수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우려와 전망
과학동아
l
200907
계발하는 1인 1기 같은 프로그램은 권장할 만하다. 또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
컴퓨터
활용능력’, 강인한 체력을 위한 ‘단축마라톤 대회 참석’ 등을 학교 상황에 맞도록 선정하고, 자격을 이수한 학생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그 성과를 기재하는 졸업인증제도 좋다.서울대가 2011학년도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07
문제가 적혀 있는 카드를 뽑아 2명이 서로 겨루면 더욱 박진감이 넘친다. 이번 여름은
컴퓨터
게임 대신 창의블록을 맞추며 보내자. 즐겁게 놀면서 두뇌도 발달시키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거둘 테니까.창의블록의 친구들창의블록처럼 갖고 놀면서 두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퍼즐을 ... ...
제3세대
컴퓨터
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l
200907
수신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펜앤마우스 블루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이은 제3세대
컴퓨터
입력장치인 셈이다. 편집자주 ‘펜앤마우스 블루’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 (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3명을 추첨해 제품을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07
오랫동안 궤도의 변화를 분석해 1930년에 이론을 내 놓았다. 오늘날 하루나 이틀 정도
컴퓨터
로 계산하면 족한 데이터 분석을 밀란코비치는 무려 20년 동안 혼자서 수행했다. 지구 공전궤도의 변화 밀라코비치는 태양을 도는 지구 궤도의 주기적인 변동이 기후를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이라고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