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개월 차에는 똑바로 걷는지, 유혹을 이겨내는지 등 선천적인 기질과 안내견이 되기 위한 가능성을 평가받는다. 이후 중간평가와 최종평가는 훈련사와 함께 받는다. 훈련사가 눈을 가리고 우리와 함께 걸으며 보행의식(걷는 것을 좋아하는지), 미션 수행능력(횡단보도에서 잘 기다리는지 등)을 ... ...
- 美 9년 만에 유인 탐사 재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형 로켓인 팰컨 헤비(Falcon Heavy)에 루나 게이트웨이의 2개 모듈을 실어 발사할 가능성을 비쳤다.그밖에 ISS와 허블우주망원경 등 1세대 우주 탐사를 이끌었던 장비들이 퇴역을 앞두고 있고, 화성 이주 계획, 달 전파망원경 설치 등 다양한 계획도 나와 있다. 짐 브라이든스타인 NASA 국장은 “우리는 ...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표했다. 이 교수는 “동물과 인간이 접촉할 기회가 늘수록 미지의 병원체가 출연할 가능성은 높아진다”며 “호랑이가 인간에게 위협이 되는 바이러스를 보유하거나 전파하는 중간숙주가 될 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인간과 접촉하는 야생동물이 많으면 전염병을 박멸하기도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 개발 등 기초연구부터 임상까지 제약의 전 과정을 경험했다. 임상 가능한 물질을 새롭게 도입해 제품을 개발(License-in)하는 등 사업개발과 관련된 경험도 쌓았다.이런 다양한 경험은 권 부문장이 최근 화두인 ‘오픈 컬래버레이션(문을 활짝 열고 여러 기업과 협업하라는 뜻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증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며 “이 연구를 통해 퀀텀닷을 활용한 미래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자발광 퀀텀닷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doi: 10.1021/acsnano.7b0189 ... ...
- [만화뉴스] ‘돈’도 2주간 격리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들어온 지폐는 격리 기간이 끝나면 우선 기계로 손상 지폐를 걸러내고, 사용 가능한 지폐만 남겨요. 그다음 자동 포장 과정을 거치지요. 이때 지폐는 150℃ 고열에 2~3초 노출되고, 포장지 내부 온도는 42℃에 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생존력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또 한국은행은 ... ...
- [시사과학] ① 동물 해부실습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해부가 이뤄지지요. 이러한 대체 방법들은 동물의 희생을 최소화하고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어요. 전세계 여러 학교들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있답니다.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려워도 이전 단어와 어울릴 확률이 가장 높은 단어를 우선해 고르므로 잘못 인식할 가능성이 줄어들죠. 대중가요 가사에는 노래를 작사할 당시 대중의 경험이나 사고방식, 정서 등이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대중가요 가사를 분석해 각 시대별로 가사에 어떤 단어가 자주 쓰였고, 어떤 단어를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호랑이가 갑자기 공격할 위험은 없을까요. 개인이 호랑이를 반려동물로 키우는 일이 가능할지 여러 관점에서 따져 봤습니다. ‘이효영의 블루 이산화타이타늄’, 멋진 이름의 정체는? (122p)☞바로가기이산화타이타늄(TiO2)이라는 화학물질이 있습니다. 이 물질은 빛을 받으면 촉매가 돼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 10.1007/BF01221857 식욕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의 존재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다.이후 1995년 제프리 프리드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는 ob 유전자가 지방세포에서 만드는 단백질이 체중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렙틴’으로 명명했다. doi: 1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