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벌 날개짓 모방한 선박추진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이 때문이다. 그러나 와이즈포 메커니즘은 (그림2)의 2차원모델 두 번째 그림에 나타낸
바
와 같이 날개가 후연을 중심으로 열리는 순간, 각 날개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순환이 형성돼 날개의 짧은 이동으로도 충분한 양력을 얻을 수 있다.실제 이 벌의 정지비행에서는 날개의 움직임이 4백Hz 정도로( ... ...
② 자연요법7: 향기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경우도 있다. 아주 소량의 원액을 정확한 경혈점(經穴點)에
바
르면 희석된 상태로 전신에
바
르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이 국내에서 입증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향기요법은 부분적이나마 외국의 것보다 더욱 발전된 형태라 볼 수 있다.정유를 ... ...
① 복잡성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VHS가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아더는 초기의 작은 차이가 사라지지 않고
바
로되먹임에 의해 급속도로 증폭된 결과라고 풀이했다.아더는 수익체증 이론이 수익체감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두 현상은 병존하며 보완적이다. 수익체감은 곡물, 중화학, 식품류처럼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의미인 “X세대는 X파일을 좋아한다”는 말이 퍼져 있을 정도다.이같은 흐름을
바
로잡고자 작년 미국에서는 과학계를 비롯한 범 아카데미 영역이 참가해 ‘미디어 성실 위원회’가 조직됐다. 이 위원회는 미디어의 (광고주로부터의) 독립과 책임감을 강조하면서 과학적 근거 없는 무책임한 이야기에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혼쭐이 난 적이 있었다. 군의관들은 개구리의 위장에서 가뢰의 찌꺼기를 발견했다. 군복
바
지 속에서 꿈틀거리는 페니스를 잠재우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프랑스 군인들과 오늘날 동남 아시아로 비행기를 타고 가서 정력에 좋다는 갖가지 동물을 먹어치우는 우리 이웃 남자들의 꼬락서니가 겹쳐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서로 다른 두 시공간 사이를 잇는 좁은 지름길인 웜홀은 미래로부터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시력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어쩌면 우 ... '충분히 진보한 기술은 마술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SF의 거장 아서 클라크의 말은
바
로 이런 경우를 지적한 것이 아닐까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TV에 인터넷 모듈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인터넷 가전기기’
바
람의 주인공인 인터넷 TV가 대표적인 제품이다. 이미 국내 가전 3사도 내장형 인터넷TV를 선보이고 있다.대우건설의 휴먼스페이스관에서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는 ‘에어워시시스템’과 건강진단기가 ... ...
축구 선수는 머리조심하라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건 잘 알려진 사실. 그러나 구기종목의 경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별로 알려진
바
가 없었다. 그런데 최근 축구 경기가 심각한 뇌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축구선수들을 긴장시키고 있다.핀란드의 한 연구팀은 MRI(자기공명장치)를 이용해 헬싱키대학의 아마추어 축구선수 15명과 1 ... ...
3. 한국 경제의 돌파구 벤처기업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까닭이다. 벤처기업의 산실얼마전 벤처기업협회에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
에 따르면 벤처기업 대표의 출신학교로 서울대가 33%로 1위, KAIST가 20%로 2위, 연세대가16%로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다른 대학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 학생수와 졸업생수를 감안한다면 KAIST의 성적은 대단한 것이다 ... ...
미국 뇌졸중으로 1천억달러 손실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그러나 미국인과 일본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돼 있지만, 한국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된
바
가 없기 때문에 추측할 뿐이라고 말했다. 또 최박사는 뇌졸중과 치매가 선천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 아직까지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미국 정부는 90년부터 뇌졸중과 치매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