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해독 기술로 2014년 기존의 1%에 해당하는 1000달러(약 118만 원)까지 비용을 낮추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난 1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일루미나의 최고경영자 프란시스 데소우자는 한 사람의 DNA를 한 시간 안에 해독하는 기계를 소개하며 “이제 100달러(약 12만 원)에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07년 탐사를 시작한 지큐호는 본래 2012년까지 맨틀을 채취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어요. 하지만 지큐호는 2012년에 해저지각을 2111m까지 뚫으면서 해저지각 시추 최고 기록을 세웠답니다. 특별 인터뷰생생! 지큐호 탑승기는 가장 최근까지 지큐호에 탑승했던 ...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소속 페테르 서볼치가 가장 작은 시에르핀스키 수의 후보를 5개로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프라임그리드는 어마어마하게 큰 소수를 컴퓨터로 찾는 단체로, 회원들은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해 함께 거대한 계산 문제를 해결합니다. 현재 114개국에서 7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폴란드의 수학자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보이는 모습 그대로 남길 수 있는 방법, 즉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최초로 성공한 사람은 프랑스의 발명가 니세포어 니엡스로 알려져 있다. 니엡스는 빛을 받으면 색이 변하는 ‘비투먼’이란 물질을 이용했다.그는 1826년경 암상자 안에 이 물질을 바른 판을 넣어놓고, 8시간 동안 집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동차 제조업체인 아우디는 2016년 초에 800km가 넘는 고속도로 구간에서 자율주행에 성공했다. 구글 자율주행차는 이미 일반도로에서 500만km가 넘는 주행기록을 달성했다.최근에는 인간 운전자와 동등한 지위까지 인정받았다. 자율주행 기술은 최근 5년 사이에 획기적으로 발전했는데, 그 이면에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아니다! 지금까지 매우 다양한 급팽창 모형이 나왔지만, 어느 것도 인플라톤의 특성을 성공적으로 기술하지 못했다.이뿐만이 아니다. 인플레이션 이후 우주는 빛과 중성미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던 기간과, 이후 일반물질과 암흑물질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기간을 거쳐, 암흑에너지가 대부분인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상지 중 하나였던 인더스문명의 사람들이 적색야계를 사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을까. 고고학자들은 “인더스문명의 사람들은 닭을 뼈까지 먹는 습성이 있었다. (더 오래전에 집닭이 된 적색야계의 흔적을) 아직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을 수 있다”며 명확한 확답을 내리지 못했고, 그 공을 ... ...
- [새 책] “ 나, 리처드 도킨스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성이 아닌가.인간 리처드 도킨스를 보여주고자 했다면 이런 면에서 이 자서전은 성공이 아닐까. 앞서 언급한 발췌문만 보더라도 그가 얼마나 자주, 그리고 멀리 삼천포로 빠지는지 알 수 있는데, 철저하게 논증적인 그의 글을 자세히 읽어 온 독자라면 이토록 사적인 여담이 그득한 이 자서전에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학자 세르게이 소볼레프는 1958년 ‘세툰(setun)’이라는 3진법 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세툰은 -1과 0, 그리고 1을 신호로 사용하는 컴퓨터였다. 진공관에 음(-)의 전압을 걸어주는 방식으로 ‘-1’ 신호 상태를 구현했다. 2진법 컴퓨터에서 정보를 2진수로 변환해 표현하는 기본 단위를 비트(bit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석으로, 더 이상 퇴적암이 없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첫번째 시추는 성공적이었다. 지하 1250m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는 히말라야산맥 기원의 선상지 퇴적암, 하부는 심해저 퇴적암으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고, 1415m의 깊이에서 고맙게도 현무암(화성기원 암석)이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