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회로 제조를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EUV 장비가 개발되면서 7nm급, 5nm급 반도체 제조가 시작됐다. 이번에 발표된 IBM의 2nm급 반도체와 TSMC의 1nm급 반도체 역시 EUV를 이용한다. EUV 장비를 만들 수 있는 건 지금까지도 전 세계에서 ASML뿐이다. 빛이 바뀌었으니 빛에 의해 깎이는 감광제 역시 변해야 한다. ...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했던가. 영상이 차곡차곡 쌓여가며, 사람들에게 ‘과학쿠키’라는 채널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평소와 같은 방식으로 올렸던 ‘대체 빛의 속도를 어떻게 알아냈을까?’라는 이름의 영상이, 일주일 만에 무려 30만 조회수를 찍으며 사람들에게 알려진 것이었다. 300~500명밖에 되지 않았던 구독자 수가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배출하는 미국은 일부 주에서만 느슨하게 시행하고 있고, 중국도 2016년에야 도입하기 시작했다.쓰레기 분리수거의 가장 큰 목적은 소각할 쓰레기와 재활용할 물품을 구분하는 것이다. 그러나 구분하지 못하고 쌓여가는 양이 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 ...
- [헷갈린 과학] 부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금관악기VS목관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구분되었지요.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관악기는 음을 만드는 방식으로 구분되기 시작했습니다. 금관악기는 입술의 떨림으로, 목관악기는 악기에 뚫린 구멍을 여닫는 방식으로 음을 냅니다. 지금은 플루트를 비롯한 목관악기 일부가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음을 내는 방식은 그대로라 여전히 ...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확대됐고, 2000년대부터 영국, 오스트리아 등 유럽을 중심으로 모피의 생산을 금지하기 시작했다. 현재 십여 개국이 모피 생산을 법으로 규제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모피 제품의 판매도 금지했다.2018년 구찌, 샤넬 등 럭셔리 브랜드가 모피 제품 출시 중단을 선언하며 모피 퇴출 운동이 ... ...
- 빨간 궁금증이 있다면 월경상점으로 오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대한 질문과 답이 오갔다. 모녀가 떠나고 김민지 월경에디터가 다가와 말했다.“초경을 시작한 지 1년 정도 지난 학생인데, 어머니께서 앞으로 30년 넘게 월경을 할 딸에게 좋은 월경용품을 소개해주고 싶어서 오셨대요. 제가 어렸을 때는 탐폰을 쓰겠다고 하면 몸에 그런 거 넣으면 안 된다고 ...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전사 과정은 RNA 중합효소라는 단백질과 다양한 전사인자 단백질들이 DNA에 달라붙으며 시작되는데, RNA 중합효소와 전사인자들이 얼마나 자주, 많이 DNA에 붙는지에 따라 발현 속도와 발현량이 조절됩니다.간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알부민처럼 발현량이 매우 중요한 몇몇 유전자들은 인핸서에 의해서도 ...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당시 사진도 비교해봤다. 얼마나 자라 있고, 형태는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한 뒤 코핑을 시작했다. 우선 방사선 촬영으로 부리 뼈 위치를 확인했다. 부리 뼈의 길이가 8cm여서 뼈 손상을 막기 위해 부리를 9cm까지만 자르기로 했다. 그 뒤 마취를 했다. 마취를 하지 않으면 야생동물이 발버둥치다가 ...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차전지)라 불리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는 KIST 에너지저장연구단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이곳에서 새로운 조력자이자 스승을 만나 재능을 펼칠 기회를 잡았다. KIST 에너지소재 공정연구실장이기도 한 이중기 UST-KIST 스쿨 교수는 엥가르 연구원의 지도교수를 맡아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선형대수학은 ‘연립일차방정식을 어떻게 하면 잘 풀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됐답니다. 즉, 기계학습의 연산에 대해 잘 알려면 행렬과 벡터를 다루는 선형대수학과 연립방정식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한다는 뜻이죠.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로 쓰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