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보기 좋은 얼음이 맛도 좋다! 예쁜 얼음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그렇게 하면 감싸지 않은 윗면부터 물의 온도가 낮아지고, 얼음도 위에서 아래로 얼기
시작
해요. 얼음이 얼면서 공기와 불순물은 비교적 따뜻한 아래쪽으로 밀려나요. 투명해진 얼음 윗부분만 사용할 수 있지요. 이렇게 만든 투명 얼음은 더 단단하기도 해요. 불순물이 섞이면 얼음 결정의 구조가 ... ...
[출동! 어수동 기자단] 아슬아슬 균형잡기의 달인! 변남석 밸런싱 아티스트를 만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결과는? 성공이었어요. 이를 계기로 여러 가지 물건을 다양한 방법으로 세우는 작업을
시작
하게 됐어요. 어수동 보통 작은 것 위에 큰 것을 계속 쌓으면 무너지잖아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상상이 잘 안 되지요. 불가능할 것만 같고요. 그럴 때는 생각에만 너무 몰두하지 말고 직접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돼! 미션 1 나만의 숫자를 만들어라 현재 대부분 나라에서는 1, 2, 3...처럼 인도에서
시작
된 아라비아 숫자를 쓰고 있어. 하지만 해롱 호가 발견한 슈리타인의 유적에는 우리가 쓰는 것과는 다른 숫자가 적혀 있었어. 먼 옛날 이집트와 로마에서도 지금과는 다른 숫자를 사용했대. 숫자를 나타내는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과정에서 작가 스스로 내적인 치유를 경험한다는 뜻이다. 그는 “아쿠아스케이핑을 막
시작
했을 때는 이끼가 번식하거나 갈조가 오는 등의 사건이 생기면 약품을 넣어보는 식으로 인위적인 개입을 했다”며 “하지만 이제는 과잉보호하지 않고 어항이 자생할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이 같은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당시 사진도 비교해봤다. 얼마나 자라 있고, 형태는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한 뒤 코핑을
시작
했다. 우선 방사선 촬영으로 부리 뼈 위치를 확인했다. 부리 뼈의 길이가 8cm여서 뼈 손상을 막기 위해 부리를 9cm까지만 자르기로 했다. 그 뒤 마취를 했다. 마취를 하지 않으면 야생동물이 발버둥치다가 ... ...
[인터뷰] “에너지 문제 해결해 고국 과학기술 발전 이끌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이차전지)라 불리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는 KIST 에너지저장연구단에서 연구를
시작
했다. 이곳에서 새로운 조력자이자 스승을 만나 재능을 펼칠 기회를 잡았다. KIST 에너지소재 공정연구실장이기도 한 이중기 UST-KIST 스쿨 교수는 엥가르 연구원의 지도교수를 맡아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폐기물을 반입하기
시작
한 건 1992년부터다. 당시엔 수도권매립지를 2016년 말까지 사용하고 매립을 종료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매립지 사용종료 기한이 임박한 2015년까지도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를 마련하지 못했다. 결국, 2015년 6월 환경부 장관과 수도권 3개 시·도 단체장(서울시장, ... ...
단순해 보여도 단순하지 않다? 수학 문제의 반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어. 지금부터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를 위해 긴급회의를
시작
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폴리매스를 구하라! 단순 수학 문제를 향한 대격돌 Part1.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Part2. 폴리매스 히어로 회의 | 단순 문제를 어찌 하오리까!Part3. ... ...
본부로부터 온 메시지 : 수학적 고민을 공유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네 개의 정수 제곱을 모두 더해서 모든 양의 정수를 만들 수 있는지를 묻는 것에서
시작
했습니다. 이 질문을 담은 책 ‘디오판토스(Diophantus)’ 를 1621년 프랑스 수학자 클로드 가스파르 바셰 드 메지리악이 번역해내서 바셰의 추측(Bachet’s conjecture)이라 불리게 됐죠. 이후 1770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정확한 이론을 알아야겠다고 느낀거죠. 처음에는 순수하게 알고 싶어서 물리학 공부를
시작
했지만 막상 공부하고 나니 작품을 쓰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함 작가님은 “창작하는 사람들이 수학, 과학 도서를 읽고 사고하면 작품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