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활성산소는 산소가 에너지를 받아 전자가 들뜬상태로 반응성이 매우 높다.이런 불
안정
한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활성산소는 주위의 다른 물질의 전자를 뺏는 산화반응을 일으킨다. 산소는 생존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을 망가트리고 세포나 세포소기관에 손상을 입히는 ... ...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16세기 초, 실외 극장에서 실내 극장으로 바뀌는 시점에서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정
적인 조명이 필요하게 되면서 나타났다.➎ 가스등석회 조각, 산소, 수소에 열을 가해 강렬한 빛을 얻어 냈다. 가스등을 이용해 실내 오페라 무대에서 달빛을 연출하는 데 성공하면서 널리 퍼졌다.➏ 백열전구 ... ...
다윈의 흔적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일을 시작하게 됐답니다. 작은 보트로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일은 매우 어려워요. 그래서
안정
된 연구소를 떠나 항해를 한다고 하자 주변의 동료들이 말렸지요. 하지만 새로운 세계를 밟아 본다는 설렘이 결국 이 힘든 계획을 실행하게 해 주었어요.이제 독자 여러분에게 출항 전부터 쓰기 시작한 제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건가요?”“난기류는 공기가 불규칙하게 흐르는 것으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공기층이 불
안정
해져서 생겨나요. 특히 갑자기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바람이 난기류의 원인이 됩니다. 사막 같은 곳은 쉽게 가열돼 상승기류가 생기고 호수는 상대적으로 덜 가열돼 하강하는 기류가 생기기도 ... ...
오리고 붙이고~, 나만의 책 나와라!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일본은 4개, 우리나라는 5개로 서로 다르다. 5개의 구멍을 이용해 책을 만드는 방법을 오침
안정
법이라고 한다.➌ 판화 프레스를 이용해 표지를 만든다. 무늬가 그려진 수지필름과 표지로 쓸 종이를 판화 프레스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수지필름과 종이에 압력이 가해져 종이에 무늬가 찍힌다.➍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세계 신기록이지. 역도 선수가 이런 엄청난 무게를 견뎌 내려면 중심을 낮추고 자세도
안정
시켜야 하겠지? 또 모든 무게가 쏠리는 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도 특수한 것을 신어야 해. 그래서 역도 선수들이 신는 신발은 뒷굽이 나무로 돼 있단다. 무게를 견딜 때 미끄러지거나 흔들리면 안 되기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공학을 공부한 학생들이 왜 의학전문대학원에 몰릴까. 우선 경기 침체로 학생들이
안정
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설재홍 교수는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도입되며 생명과학부는 의사를 배출하는 ‘징검다리’가 되고 있다”며 “전문대학원에 지원하기 ... ...
名品김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무리한 고난도 기술을 시도하는 대신 자신이 가장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안정
적으로 선보이기 때문에 항상 자신감이 넘친다”고 설명했다.1. 트리플 플립 + 트리플 토루프체력 부담 때문에 기본점수가 가장 높은 기술을 가장 먼저 한다. 기본 점수 9.50점.2. 트리플 루프기본 점수가 5.00인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반영한 듯하다.국내외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대학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다. 즉
안정
적으로 취업하거나 창업할 수 있는 과정으로 간주하는 추세다. 각 대학에서도 이런 흐름에 맞춰 학과를 특성화해 대표주자로 밀고 있다. 특히 기업과 연계해 학과를 운영하는 일이 늘어났다. 기업 맞춤형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옵신 구조를 밝히는 일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레티날이 빠져나간 옵신은 구조가 불
안정
해져 결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했죠. 오까다 박사팀도 실패했으니까요.” 2004년 다시 안식년을 맞은 최 교수는 독일로 날아가 옵신 결정을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결정을 만드는 그의 능력은 쟁어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