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연안에서 발견된 시체에 제주도 플랑크톤이 보인다면, 시체가 해류를 타고 먼 거리를
이동
해왔다고 의심해볼 수 있다.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김일평 과장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천해양경찰서 관할 해역에서 발생한 변사 사건 중 176건에서 나온 플랑크톤 정보를 정리해 2012년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중 킹과 최단 거리를 이룰 수 있는 유리한 고지는 정중앙이기 때문에 대부분 중앙으로
이동
하는 체스오프닝을 선호한다. 먼저 시작하는 백에게 중앙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먼저 오니 체스는 먼저 시작하는 백에게 유리한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그렇다면 체스에도 필승법칙이 있을까? 한 경기에서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겨울에 남미의 사바나 지역으로
이동
하는 것이 밝혀졌답니다.카디날 연구원은 “철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기술은 철새의 종족 보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고고학 ․ 우주‘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1991년 알프스에서 발견된 5300년 전 신석기인 미라 ‘외치’의 위장에서 현대인의 절반 이상이 가지고 있는 ‘ ... 형태다. 이는 외치가 살았던 5300년 전에는 아프리카의 현생인류가 유럽으로 활발하게
이동
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1초가 채 안 걸렸으며, 이륙 속도는 초속 약 15m였다. 기린만 한 몸집으로 이렇게 빨리
이동
할 수 있는 동물은 오늘날 지구상 그 어디에도 없다.작은 새 나라의 걸리버, 익룡그런데 궁금한 게 있다. 날아다니는 새는 왜 케찰코아틀루스처럼 커다랗게 진화하지 못할까. 오늘날 날아다니는 새 중 몸집이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빨리 연소시킨다. 금속 간 반응이란, 이온화 경향이 다른 금속이 접촉해 있을 때 전자가
이동
하면서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이다. 윤 교수는 “코팅 기술을 이용하면 금속 연료의 점화 온도와 연소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발 위험도 줄일 수 있다”며 “현재 이 분야에 상당한 진전이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조난 신호를 마지막으로 연락을 끊었다. 7번 드론은 바퀴가 아니라 다관절 다리를 사용해
이동
하는 모델이었다. 마지막으로 전송된 화면으로 보건대 7번은 돌풍을 맞고 돌을 잘못 밟아 갱도 깊은 곳으로 떨어진 것 같았다. 나는 비행형인 9번 드론을 확인차 보낸 다음 내 기계몸으로 초점을 회수했다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수 있어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이 널리 쓰이고 있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무선
이동
통신의 속도가 빨라졌거든요. 그래서 화려한 영상의 게임도 쉽게 다운받고 즐길 수 있게 됐지요.또 다른 변화는 게임을 마치 실제 상황처럼 즐길 수 있게 되었다는 거예요. 그 주인공은 ‘오큘러스 리프트’!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곳곳에 널려 있는 암석의 자기 정보를 분석하면 판의
이동
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다.판이
이동
하는 속도는 각각 조금씩 다르다. 나스카판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빠르지만, 중앙대서양해령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40mm씩)만큼 느리다.미래 초대륙은 아메리카+아시아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설명했다. 대칭성은 물리계에 적용되는 법칙을 바꾸지 않은 채로 물리계에 좌표
이동
등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대칭성이 깨졌다는 것은 자유롭게 계산할 수 없게 된다는 말이다. 즉, 전자기력과 약력은 우주 탄생 초기 온도가 높았던 얼마 동안은 하나의 수식으로 기술할 수 있는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