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아! 드디어 죽음의 주가 끝났다!”“휴~, 다들 고생했어! 다 끝났으니 야식 먹자!”시원이가 캠핑장 식당에서 기숙사 친구들인 파부르, 조금만, 오로라와 함께 시끌벅적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죽음의 주 동안 무척 고생한 듯 모두 꾀죄죄한 얼굴로 허겁지겁 라면을 끓이기 시작했지요. 과연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 팀은 우리를 방해하기 위해 공격해 올 거예요. 저 안에 몇 명이나 되는 상대편이 어디에 숨어있는지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이럴 땐 역시 ‘파이어 인 더 홀’을 외치며 수류탄을 던져 터뜨린 다음, 용감하게 뛰어 들어가야 해요!잠깐! 누군가 뛰어오는 소리가 오른쪽 1시 방향에서 들려요.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우주의 99%를 가득 채우고 있는 플라스 마는 의외로 발생 조건이 까다로워 19세기 후반에야 그 존재가 확인됐다. 처음으로 플 라스마를 ‘만들어낸’ 사람은 1879년 영국 의 화학자였던 윌리엄 크룩스 경. 그는 진공 상태의 방전관 양 끝에 전극을 달고 전압을 걸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참 동안 답을 하지 않았지만, 열 살 그 날 오후 이후 선생님이 소금의 질문을 무시한 적은 없었기에 소금은 기다렸다. 선생님이 말했다.“카두케우스사는 그저 존재하는 거란다. 우주처럼. 본사가 훌륭한 사람을 구분할 능력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지.”“교과서를 보면 카두케우스사는 ...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면적을 비교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답니다. 예를 들어 도마뱀의 발바닥이 벽에 닿는 면적은 진드기에 비해 200배가 넓었어요. 몸무게와 발바닥 면적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계산한 연구팀은 키 180cm, 몸무게 80kg의 남성이 벽에 달라 붙기 위해선 55인치 TV와 비슷한 면적의 발 크기를 가져야 한다고 ...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작년 5월에는 게임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수학자 존 내시가 자동차 교통사고로 별세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달에 ... 수상소감에서 “나는 늘 스스로 수학자라고 생각해왔으며 경제학 강의를 들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기도 했답니다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뚜뚜뚜, 삐~.그 흔한 PC방도 없던 시절 전화로 PC통신이나 인터넷에 접속해 그래픽도 없이 문자로만 게임을 하던 1996년 4월 5일, 혜성같이 등장한 게임이 있다. 고구려 3대 왕인 대무신왕 고무휼의 부여 정벌의 꿈과 사랑이야기를 담은 ‘바람의 나라’다. 지금도 서비스하고 있어 최장수 온라인 게임 ... ...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로보어드바이저인공지능(AI) ‘알파고’와 바둑 기사 이세돌 9단의 세기의 대결이 끝났습니다. 결과는 4:1로 알파고의 승리였습니다. 경기를 지켜본 많은 이들이 생각보다 빨리 찾아온 인간의 패배에 씁쓸해했지만, 인공지능을 연구해 온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새로운 인공지능 르네상스를 반기는 추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양이만의 세상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덧셈도 할 줄 알고 퍼즐도 풀 수 있는 천재 고양이도 있다는군요. 지금껏 인간 세상에 알려진 적 없는 고양이 왕국 ‘이페르’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인간 세상 너머 고양이 왕국에는…1347년, 이곳 한반도는 충목왕이 다스리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돼 볼까 해서 교육대학원을 알아본 적도 있어요. 취직하기 전에 미래에 대해 확신을 가진 적은 없어요.‘모리 시게후미’라는 일본의 저명한 대수기하학자도 학창시절 두각을 나타냈지만 다른 일을 해야 하는 건 아닌지, 자신의 능력이 수학자로서 충분할지 계속 고민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