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장 앞선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과 일본도 우주전력을 점차 증강하고 있다.
중국
은 2003년부터 유인 우주선 발사를 연이어 성공시켰고, 2006년에는 자국 상공을 통과하는 미국 정찰위성에 대해 레이저 요격을 시도한 바도 있다. 일본은 북한의 탄도탄 공격징후를 감시한다는 명목으로 2009년 말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보존한 그리스 문화가 르네상스라는 찬란한 결과로 이어진 것과 달리 아쉽게도 한국과
중국
의 수학적 전통은 동양의 근대 수학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맥이 끊겼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근대를 형성할 시기에 서구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전통과 현대 사이에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는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때문이다. 실제로 2002년부터 1만여 개의 올가미를 없앤 결과 호랑이가 늘어났다.
중국
훈춘 지역으로 호랑이가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지금도 추운 산 속에서 시베리아호랑이 보호 활동을 벌이는 분들이 있어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 www.21stcenturytiger.org야생으로 가는 그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일을 하고 싶다는 가을 학생은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대통령이 되고 싶대. 가을 학생은 곧
중국
에서 열리는 국제수학경시대회에 참가해. 이번에도 좋은 결과가 나와 가을 학생의 꿈이 꼭 이루어지기를 바랄게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발전 상황을 항상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앞선 정보기술(IT)을 갖고 있는 만큼
중국
등 주변국과 교류를 통해 우주 분야에 앞선 선진국을 빠르게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물론 미국과 러시아와의 협력도 계속할 것이다. 지금도 한국의 ‘국격(國格)’은 충분히 올라가 있지만 그러다 보면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월 15일 해질 무렵 달이 해의 77%나 가리는 부분일식이 있다. 이날 아프리카 동부와 인도,
중국
남동부에서는 해가 달에 가려 금반지 모양처럼 보이는 금환일식이 진행된다. 2월에는 소행성대에서 두 번째로 큰 소행성 베스타가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장관이 연출된다. 6월 7일 새벽하늘에는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볼 수 있어. 빙기에는 빙하가 얼면서 지금보다 해수면이 100m 이상 낮았어. 그래서 서해와
중국
대륙이 이어져 있었는데, 이 때 살았던 열목어가 나중에 바다에 가로막히면서 우리나라에 남아 있게 되었단다. 다시 빙하기가 올까?❶기후 변화의 주기로 알아보자지금이 간빙기라면 다음 빙기는 언제 ... ...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화물을 헤치고 올라가자 배의 조타실이 나왔어요. 그리고 우리는 그 곳에서 인천과
중국
대련을 오가는 여객화물선 ‘대인호’의 선장님을 만나 항해에 쓰이는 여러 장치를 볼 수 있었어요.조타실의 핵심! - 조종 장치여객화물선은 지도와 레이더, 관제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반자동으로 운행되고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김 박사는 꽃매미가
중국
으로부터 온 외래종인지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올 9월, 직접
중국
을 방문해 꽃매미를 잡아서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꽃매미와 DNA를 비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꽃매미를 물리칠 수 있는 천적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네. 하지만 천적이 없다고 꽃매미를 물리칠 수 없는 건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탐사 위성 ‘스마트-1’을 발사했고, 2007년에는 일본이 ‘가구야’를 달에 보냈습니다.
중국
도 2007년에 ‘창어1호’를 성공적으로 달에 보냈습니다. 지난 해 10월에는 인도도 ‘찬드라얀1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하며 달 탐사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이 외에도 러시아나 독일 등이 달 탐사 계획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