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여섯 개로 이뤄졌다. 카스토르는 정말 놀라운 별이다. 이달의 천문현상_태양과 달의 숨바꼭질3월에는 태양과 달의 숨바꼭질이 이어진다. 3월 4일에는 지구 그림자에 달이 숨는 부분 월식이, 3월 19일에는 태양이 달 뒤로 숨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하지만 부분월식은 아침 6시 3 ...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중심을 우주 중심으로서 부동(不動)으로 보았다 5세기 후반기에 활약한 인도의 수학자, 천문학자 그의 저서《Aryabhatiya》에서 후세의 L 오일러와 같은 방법으로 부정방정식 ax±by=c의 정수해를 구함으로써 그리스의 디오판토스를 앞섰고, 또 현 대신 현재 사용하는 사인을 쓴 일 및 평면삼각법의 ...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과학동아 l2007년 03호
- 고대문명이다.마야민족은 인간이 살기에 부적합한 열대밀림에 도시를 세우고 건축술, 천문학, 수학에서 찬란한 문명을 이룩했다. 철제도구도 없이 석회암이나 단단한 나무로 대들보를 만들어 거대한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1년(365.2420일)과 한달(29.5320일)의 길이를 정확히 파악했으며 세계 최초로 0을 ... ...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과학동아 l2007년 03호
- 감사의 편지를 쓰기도 했다.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명은 천문학자들이 계산하는 수고를 덜어줘 그들의 수명을 두 배로 늘렸다”고 말할 정도였으니 로그가 계산을 얼마나 쉽게 만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로그는 수학의 역사에서 갈채를 받았다. 그 이유는 뭘까? 로그는 ...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에를랑겐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괴팅겐·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는 천문학을 배웠다 괴팅겐 대학에서 K F 가우스, W E 베버와 알게 되어 그들의 발명인 자침 전신기를 개량했다1832년 뮌헨 대학 교수에 취임했으며 49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의 초청을 받아 통신망을 완성했다 55년 뮌헨에 광학기계 ...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과학동아 l2007년 03호
- 洪正夏)는 중국 수학자와 실력을 겨룬 사람으로 유명하다. 1713년 청나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하국주(河國柱)가 조선에 왔을 때, 홍정하는 그를 찾아가 수학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얻고자 했다.하국주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해준 서양수학을 조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수학자들의 수준을 ... ...
- 우주로 이사가는날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2호
- 행성들도 발견되면서 2005년에는 지구 질량 5.5배 정도의 행성도 발견되었다는 것. 한국천문연구원 박병곤 박사, 충북대 한정호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도 지난 2005년 5월 목성급 외계 행성을 발견한 데 이어 2006년 3월 해왕성급(지구 질량의 12배)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걱정은 외계 행성이 ...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대부분의 은하 중심부에 초대형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천문학자들은 퀘이사가 은하로 진화하는 전 단계라고 믿고 있다. 임 교수는 “은하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아내려면 밝은 퀘이사의 초대형 블랙홀과 주변 환경을 연구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임 교수팀은 ...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주가 되는 역법이지만, 조선의 천문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천문연구원 안영숙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 ...
- 연이 끄는 화물선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에어리 자오환(子午環)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이다11850~1919 독일의 물리학자 제만효과와 고체전자론(固體電子論) 연구로도 알려졌지만, 결정물리학(結晶物理學)의 창설자로 큰 명성을 얻었다이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