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안녕! 나는 최첨단 액션 히어로 ‘아이언 맨’이라고 해! 내 주특기는 최첨단 기술을 이용해 악당을 물리치는 것이지. 그런데 요즘은…, ‘배트맨’, ‘슈퍼맨’ 등등 슈퍼 히어로들이 넘쳐나서 일거리 얻기가 쉽지 않아졌어. 나는 이러다 실업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에 새로운 능력을 계 ...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웽~~.’ 하는 엔진소리가 시끄럽게 울려 퍼졌다. 검고 둥근 원통형 로봇 한 대가 땅을 박차고 하늘로 둥실 떠오르더니 15~20m 높이까지 훌쩍 솟아올랐다. 주변을 맴돌다 옆에있던 연못가로 날아갔다. 로봇이 두 개의 작은 물체를 물 위로 떨어뜨리자 물체는 즉시 부풀어 올라 노란색 구명조끼로 ...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후후후…. 어서 오십시오. 초청장을 보고 놀라셨지요?당신이 찾아온 곳은 ‘*지구의 날’의 방. 21세기 최초, 최고의 두뇌 게임이 이뤄지는 현장입니다. 위험에 빠진 지구를 구하기 위한 방이기도 하지요. 지구를 구하는 방법은 오직 하나, 바로 당신이 이 방을 탈출하는 겁니다. 시간 제한은 없습니 ... ...
- 백두산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최근 백두산 폭발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휴화산으로만 알려져 있던 백두산이 폭발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과거에는 언제 얼마나 크게 폭발했는지, 만약 폭발한다면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한 탓이다. 백두산의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를 다뤘다.지금으로부터 약 28 ...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세계 최초의 ‘등대(燈臺)’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항구의 ’파로스 등대’로 알려져 있다. 기원 전 280년에 만들어진 이 등대는 1600년 후에 지진으로 파괴된 것으로 전해진다. 기원전에 높이 135m에 달하는 대형 건축물을 쌓아 올렸다는 점, 석유나 전기 같은 근대적인 에너지원도 없이 밤새도록 불 ...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황금처럼 빛나는 누런 들판이 바닷물처럼 출렁인다. 하늘에서 선물이라도 쏟아지는지 들판은 쉴 새 없이 손을 흔든다. 나무들도 ‘선물’을 받으려고 하늘로 손을 뻗었다. 나무마다 머리 꼭대기가 연두색으로 밝게 빛난다. 가장 키가 큰 나무는 혼자 차지하고 싶어 온 가지를 사방으로 쭉 뻗어 기지 ...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지천에 널린 물을 보고 신기해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사실은 과학자들이 그렇다. 물은 대단히 특이한 성질들로 가득한 신비로운 물질이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생화학자인 미국 하버드대의 로렌스 헨더슨 교수는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기이한 특징 때문”이라고 말했다. 물과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제 3 화 임금님을 만나다“지오가 궁궐에 남기로 결심한 건 순전히 한 마디 말 때문이었다. “어쩌면 먼 과거의 세상을 보게 될 지도 모르지” 라고 하던 천복의 말이 지오의 마음을 잡은 것이다.‘연월기를 만들어서 2년 전으로 돌아가는 거야. 그때로 돌아간다면 누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을지도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서술형 답안에 300자를 채우기가 힘들고, 자기소개서에 쓸 내용이 두 줄 이상 떠오르지 않는다면? 그런 학생이라도 컴퓨터 앞에서는 관심 있는 사이트에 댓글 달기가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에게 친숙한 인터넷, 그중에서도 최근 소셜 미디어라 불리는 위키와 트위터를 활용해 ...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지구과학]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세포는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기본 단위를 말한다. 대부분의 생물체는 세포 구조를 통해 그 특성을 알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세포 구조를 살펴보고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도록 한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세포는 히스톤 단백질이 결합돼 있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