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백작약은
풀
한포기에 꽃이 한송이만 피는 식물이다.저편에는 자주색 꽃이 핀 작은
풀
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군데군데 들국화 비슷한 노란색 꽃이 핀 종류도 보인다.“아, 저기 얼레지가 있네요. 참 예쁘죠. 이 노란꽃은 복수초고 여기 현호색도 보이네요.”이씨가 가리키는 곳을 보니 연한 남색의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지만 최근 친화적인 마루용 소재로 목재 외에 대나무가 손꼽히고 있다. 나무가 아닌
풀
임에도 성장속도와 나무적 특성 때문이다. 대나무는 바닥재에 많이 쓰이는 적참나무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접 수분에 많이 노출되면 변형이 생기는게 단점이다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억을 장기저장하는 과정에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얀 본 교수도 “잠을 자는 동안 퍼즐
풀
이에 대한 기억들이 정돈되면서 숨겨진 해법을 찾게 된 것”이라고 잠을 자고난 학생들의 통찰력을 설명했다.잠자는 모든 시간이 중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분명 꿈을 통해 새로운 통찰력을 얻었다고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자생하고 있다. 한편 딸기는 장미과 프래가리아(Fragaria)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로 나무딸기와는 먼 친척 뻘이다.최근 복분자딸기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맛도 맛이지만 건강에 좋다고 소문이 났기 때문. ‘요강을 뒤엎는 과실’이란 뜻인 복분자(覆盆子)라는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 한방에서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북한과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장백산맥의 최고봉인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명산으로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남아있다. 특히 하늘 아래 물로 가득 ... 열리다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
풀
어준 천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동물은 웰빙, 관람객은 흥미 진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호랑이를 보고 나면 꼬불꼬불 오솔길을 지나는 여우고개를 만나게 된다. 키가 큰 억새
풀
들이 주위를 감싸고 있어 오싹한 기분이 든다. 여우사에 있는 흉가와 무덤은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구미호의 전설을 눈앞에 재현하게 된다.마지막으로 나오는 동물사는 반달곰을 위한 것으로, 곰의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남겨둔다는 말이다 고객은 자신의 공개키를 통해 거래처로부터 암호문을 받는다 이를
풀
수 있는 사람은 '비밀키'를 가진 자신뿐이다1960년대 즈음부터 서구 SF문학계에서 새롭게 나타난 경향 기존 SF가 주로 과학적 상상력의 묘사와 탐구에 치중했다면, 뉴웨이브 SF는 좀 더 사회적인 문제와 인간의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얻으려면 좋은 젖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초학문을 하는 나로서는 좋은
풀
이 더욱 중요하다고 느낍니다.마찬가지로 우리나라가 IT(정보통신) 강국을 꿈꾼다면 그 기초가 되는 전산수학이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IT역군들이 전산수학을 모른다면 우리나라는 IT 강국이 될 수 없어요.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과일, 쐐기
풀
, 야생샐러리, 대나무 가지를 먹는다 다 성장한 고릴라는 하루에 30kg의
풀
을 먹어치운다 겉모습과는 달리 초식동물인 것이다 홍역이나 감기같은 것이 고릴라를 죽일 수 있다 사람의 지문처럼 고릴라에게는 코지문이 있다오랑우탄은 긴팔과 다리를 이용해 이 나무에서 저 나무가지로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물이 계속 차오르고 너무나도 유물이 아까워서 어떻게 하나 고민하다가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은 감사원장뿐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감사원장을 찾아가 사정을 얘기했어요. 결국 연장발굴의 허가를 받아냈어요. 이후 총 7차례 발굴을 통해 얻은 수양개 유물은 세계 어딜 내놔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