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고농축방사능이 지구를
향해
떨어질때 어떻게 할 것인가미국과 소련의 핵추진인공위성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런 사고가 날때 인공위성에 싣고있던 원자로가 파괴되면서 대량의 방사능이 지구상에 확산될 위험이 크다. 그리고 사고위성이 지상에 추락할때의 인명과 재산피해도 크게 ... ...
자동보행로봇·파일럿조수·지휘관조언자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내부 결함이라는 것을 밝혀냈다.1979년 미국 오레곤주에 있는 레이다 기지에서는 지면을
향해
떨어지고 있는 로킷을 검출해내고 경보를 발했다. 또 1개월후 소련의 대량공격을 알리는 경보컴퓨터가 작동을 했다. 이는 모두 실제 상황이 아니었다.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의실험)데이터가 잘못 들어가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제트기를 타고갔다.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는 로마넨코가 그로부터 3백26일전 우주로
향해
출발한 곳이다.트랩을 내려오는 로마넨코에게 11세된 장남이 달려갔다. 그리고 무사히 돌아온 아버지에게 마구 뛰어들어 안겼다.한순간 주변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긴장했다. 지금 바로 돌아온 영웅이 ... ...
감마선의 수수께끼, 물리학계 긴장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1년전 로스알라모스의 '내글'박사를 비롯한 연구팀은 망원경을 통해 감마선이 지구를
향해
내려오면서 여러 소립자를 생산하는 과정을 지켜보고 있었다. 소립자 중에는 지금까지 감마선의 충격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와 그 반물질인 양전자가 대부분이었다.그런데 여기서 예기치 않은 ... ...
한쪽으로 늘어진 위성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빛을 반사한다. 예를 들어, 명왕성은 매 6.4일마다 어두워지고 밝아진다. 이것은 우리를
향해
밝고 어두운 지역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은 이것의 회전시간을 나타내준다.그렇다면, 토성도 네레이드보다 훨씬 큰 빛의 걍도변화를 보여 주는 이아페투스라는 위성을 가지고 있다. ... ...
'88노벨과학상 -업적과 프로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받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스트레스는 이내 신경전달물질로 변해 '친숙한'세포를
향해
다가 갈 것이다. 이때 세포는 일단 신경전달물질에 '문'을 열어주지만 반드시 '문지기'의 안내를 받게 한다.이 '문지기'가 바로 수용체다. 다시 말하면 수용체는 세포의 '접수창구'인 것이다.그런데 이 수용체는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4.가장 빠르게 나는 동물은 송골매다. 독일에서 전자시계로 잰 결과, 45도 각도로 먹이를
향해
내리덮칠 때는 시속 3백49㎞로 난다. 1.5㎞에서 수직으로 떨어질 때는 더 빨라서 시속 3백70~3백86㎞. 송골매는 반음속으로 먹이를 낚아채는 것이다.반면 가장 느린 새는 미국산 딱따구리. 계속 날아도 시속 8㎞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국제적 명성이 드높은 레닌그라드대학이 자리잡고 있다. 2만명의 학생이 내일의 소련을
향해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레닌그라드 대학은 현재 외국의 15개 대학과 러시아어코스에서 학생교류를 하고 있다. 그리고 캘리포니아 대학과는 수학 및 자연과학분야에서 매해 15명의 학자와 학생들을 ... ...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없는 고양이의 제1차 시각중추 속의 특이핵(特異核)이라는 세포를 자극하면 당장 쥐를
향해
달려들려는 집중행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고도의 집중행동으로까지 발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차 시각중추 속의 비특이핵(非特異核)이라는 세포가 정보를 정리하여 쓸데없는 정보를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것이었다. 그것은 지구의 중심이 바로 우주의 중심이고 무거운 것은 이 지구의 중심을
향해
떨어진다는 추상적인 우주론부터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입증하는 천문학의 증거까지를 포괄하는 설득력있는 생각이었던 것이다.●―공모양의 지구, 상아탑에서만 상식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과학자들은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