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약용(薬用) 동물은 어떤 것들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밝게 하는 작용도 있다고 한다. 영양각이란 산양이 밤에 뿔을 나무가지에 걸고 잠자던
흔적
이 뿔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염소 고라니 노루 토끼 수달 오소리 고슴도치 족제비 등의 고기나 간 쓸개 뼈다리 등도 귀한 약재로 쓰이고 있다. 이상의 약용동물들은 그 효용가치로 인해 자칫 소홀히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는 고대 그림을 세계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도 있다. 세계 일각에서는 배나 비행기가
흔적
도 없이 사라지는 마의 버뮤다 삼각지대도 우주인의 소행일 것이라는 추측도 나돌고 있다. 최초의 고등문명체 탐사계획 오즈마이렇듯 외계인의 존재는 인류 역사를 통해서 계속 그 가능성이 논의 되어 ... ...
우체국의 혁명 국내 최대, 최고의 서비스망 갖춘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프랑스의 텔레마티끄, 텔레텔서비스 등과 같은 상징적 사업들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흔적
들이 엿보인다. 우리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상징 사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정책 전개에도 적잖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관점에서 포스트 프로젝트는 특히 주민이나 영세기업의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었다고 추측된다. 또 뼈연모 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인위적으로 날카롭게 가다듬은
흔적
이 보여 당시의 사냥기술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구석기유적으로서 두루봉동굴이 갖는 중요성은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인골과 함께 풍부한 동·식물상자료, 석기들이 한꺼번에 ... ...
「북경원인」의 생활에 대한 종래 학설 반박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고 또 자연적인 마모현상일지도 모른다는것. 또한 재는 북경원인들이 불을 사용한
흔적
으로 단정할수 없고 산불로 생긴 재가 바람에 날려 동굴속으로 온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두사람은 결론으로 과거 고고학자나 인류학자들이 원인(原人)을 너무 현생인류와 비슷하게 묘사한것은 ... ...
화성은 어떤곳일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생겨나지는 않았다. 사진에서는 화성에 거대한 강이 있었거나 대홍수가 있었다는
흔적
이보였다(흑백 사진 참조). 학자들은 이런 조사와 자료를 바탕으로 먼 옛날 화성에는 충분한 물과 농도짙은 대기가 있었고 기온도 따뜻했으리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극지의 얼음덮힌 밑바닥에는 생물이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태워버렸다. 용암이 흘러든 주변의 호수는 잠시 자욱하던 수증기가 걷히고 나자 호수
흔적
이 없어져 버렸다. 주변일대는 화산분출물로 덮여 황량해졌다. 이 분화활동은 그후 2차,3차로 계속되다가 76년 12월에야 끝났다. 이런 분화활동이 진행될때 분화구에서 상공으로 치솟은 화산연기 속에서 가끔 ... ...
모형으로 재현된 50만년 전의 생활상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이 정도의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곁굴에는 불을 쓴
흔적
이 남아있어 학계에서는 귀중한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여기에서 발견된 유물로는 사냥을 위한 팔매돌, 찍개, 주먹도끼 등이 있었는데 기술은 아직 서툴러서 석기의 날이 꼬불꼬불하다.큰 석기도 눈에 띄어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매력적이며 호놀룰루와 오아후섬의 상징이라 할수도 있다. 펀치볼을 절구모양의 분화구
흔적
이며 여기서 내려다 보는 호놀룰루의 전망은 참으로 아름답다. 지금은 이곳에 태평양전쟁에서 베트남전쟁에 이르기까지의 미군 전사자 2만6천여명이 잠들어있으며 유명한 종군기자 '어니파일'의 묘도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혜산진까지 70㎞ 간과 백두산에서 동쪽으로 무산까지 약 1백㎞ 간에는 전혀 곡류의
흔적
이 없는 것을 보아 알 수 있다. 백두산용암 위에 생긴 강은 직류하고 있는 것이다. 곡류 감입곡류 직류 이런 것이 개마고원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1천~2천m의 고원에 1천m 내외의 산체를 만들고 넓게 그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