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0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미국과 유럽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AI와 같은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분
위
기다.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담당하면서 이익의 80%를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발렌베리 재단은 연구비 중 10%를 데이터 기반 생명과학에만 투자한다고 결정했다. 이 교수는 “노벨상을 주는 스웨덴처럼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포식자로부터 숨기
위
해 15분 이상 너끈히 잠수할 수 있다. 르본 비스 제공 발트해의 한 호박 보석 속에는 4000만년 전 각다귀의 형태가 아름답게 보존돼 있었다. 각다귀는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모기와 비슷하지만 사람의 ... ...
"화이자 코로나 치료제
위
중증·사망
위
험 89%줄여…오미크론도 효과" 최종임상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변이 감염증도 치료 효능이 뛰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확실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
해 화이자는 이번 주부터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시험도 진행할 예정이다. 화이자는 연말까지 18만여 명 분을, 내년 상반기에는 2100만여 명 분을 생산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이미 170만명 분을 선구매 했으며 ... ...
우주 날씨 관측하는 세계 첫 나노
위
성 편대 '도요샛' 내년 상반기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생성과 소멸에 대한 메커니즘은 현재까지 수수께끼”라며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나노
위
성 4기의 편대비행 관측으로 지구 주변 우주환경 연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 ...
[기고]국회에 과학기술혁신특별
위
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국가과학기술
위
원회 전문
위
원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상
위
평가 분과
위
원장 및 총괄
위
원을 지내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책임교수를 지냈다. 지난 2015년에는 제10대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에 선출됐다 ... ...
큰 지진 없던 제주에 규모 4.9 지진…원인 파악 중
2021.12.14
일본 기상청도 해당 지점 10km 깊이에서 규모 5.2 지진이 발생했으며, 현재까지 쓰나미
위
험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진원지와 가장 가까운 나가사키현은 진도 1 규모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회장에 이용철 전북대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무임소이사, 전북지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이 교수는 “학회가 더욱 발전하여 반석
위
에 올라갈 수 있는 기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가 명실공이 세계적인 학회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남극 '지구종말의 날 빙하' 금 간 자동차 유리와 같은 상태
연합뉴스
l
2021.12.14
더 높은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스웨이츠 빙하를 연구하기
위
해 결성된 '국제스웨이츠빙하협력단'(ITGC)의 미국 측 간사를 맡은 테드 스캄보스 박사는 "스웨이츠 빙하 전체는 해수면을 60㎝가량 끌어올릴 수 있는 물을 갖고있지만 주변 빙하까지 가세한다면 3m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오늘날 스
위
치그래스의 서식 범
위
는 중앙 멕시코에서 캐나다에 이른다. 연구자들은 스
위
치그래스가 다양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었던 게 사배체 게놈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기장속 두 종의 게놈이 합쳐지며 중복된 유전자 가운데 하나가 저온 적응 같은 새로운 기능을 갖게 ... ...
[기고] 5만 달러 시대, 과학기술로 열기
위
한 조건
2021.12.14
※필자소개 안동만 회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영국 크랜필드대에서 항공공학 박사 학
위
를 받았다. 미국 노드롭항공을 거쳐 지난부터 1973년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본부장, 국방부 획득실 연구개발관 등을 거쳐 2005년 국방과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이후 한서대 항공전자시뮬레이션학과 교수,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