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찬의말씀] 모더나 창업한 랭거 제자 "mRNA 기술 상용화 투자해야"
2022.09.19
지질나노입자 후보물질 개발 및 평가(2021~2022) 기질 리보핵산 구조 연구를 통한 혁신적
유전
자치료제 개발(2020~2022) 차세대 mRNA를 이용한 베타세포 강화 기술 개발(2019~2022) NTIS 보러가기▶ (https://www.ntis.go.kr/ThMain.do)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는 ... ...
유전
자가위 체내에 직접 주입해 희귀
유전
질환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8
크리스퍼를 전달한 두 번째 사례다. 지난해 인텔리아는 ATTR 아밀로이드증이라는 희귀
유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크리스퍼를 주입해 아밀로이드 축적으로 생기는 신경통, 저림 등 증상을 완화시켰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다만 환자들의 증상이 최종적으로 개선됐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
부모의 간접흡연도 자녀의 천식 발병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전
자와 상호작용해
유전
자 발현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후성
유전
학은 염기서열 이외에 DNA에 일어나는 부분적인 변화를 일컫는다. 연구팀은 담배 연기가 세포에 후성유적학적 변화를 일으켜 정자를 생산할 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팀은 천식 위험이 ... ...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 뇌가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뇌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며 “향후 동물실험을 통해 TKTL1
유전
자가 실제 인지기능을 향상하고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당나귀는 7000년보다 더 오래전 가축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1
확대, 가축화 이후 인간의 관리 방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당나귀의
유전
적 역사를 이해하면 당나귀와 함께 공존했던 인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당나귀는 수천 년 동안 인간에게 유익한 동물이었다. 다양한 인류 문화권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장거리 ... ...
기름진 추석 음식 욕구 시작점은 바로 '이곳'
동아사이언스
l
2022.09.10
뇌에 기름진 음식에 대한 욕구를 자극하는 신호를 보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유전
자 조작을 통해 이 지방센서를 비활성화시켰다. 그러자 쥐는 지방에 대한 식욕을 잃었다. 지방을 섭취하는 신경세포를 비활성화하자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주커 교수는 “비만율은 1980년 이후 거의 두배가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
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관련 없을 것으로 여겨지던 간극연접 단백질이 다양한 섬모의 형성과 기능에 필요한
유전
자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에 지난달 25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7일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혈관과 림프관이 포함된 ... ...
난임 부부에 희소식...정자를 난자로 끌어들이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난자들을 조사해 이 난자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해당 단백질의
유전
자를 인간의 배양 세포에 삽입하자 자연 수정과 같은 방식으로 정자와 결합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단백질이 수정을 위해 정자를 난자에 끌어넣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해리 무어 미국 ...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연합뉴스
l
2022.09.06
이 유형의 교세포가 만드는 신경 영양 인자를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세포 치료와
유전
자 치료를 병행하는 이 치료법은 ALS 환자의 뇌와 척수에서 운동 뉴런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런 ALS 치료법을 놓고 실제로 임상 시험이 진행된 건 처음이다. 미국의 시더스-시나이 메디컬 센터 ... ...
현생 인류 따라 기생충도 이동...바이킹 똥에서 찾은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얻은 현대 샘플과 비교해 1만 년간 편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
자 변화를 살폈다. 모계
유전
되는 미토콘드리아 DNA는 계통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데 진화의 기원을 추적하는 단서로 쓰인다. 그 결과 아프리카에 있던 편충이 아시아 지역으로, 다시 아메키라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이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