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텔로미어 내 손으로 자른다
2016.04.11
업종 종사자로서 보고 있으면 소소하게 웃음이 나오지요. 과학을 대중화하고 싶은
저
도 가만히 있을 순 없습니다. 사실 입담 좋은 기자들이 모인 편집부에서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알고 있는 과학 지식으로 개그를 만든다든가, 대화의 소재가 기본적으로 과학 소재인 식입니다. ... ...
[마음을 치는 시 10] “젊은 계집 목매고 달릴 때러라”
2016.04.09
“첫사랑”과 이별하자 눈이 녹는(“눈 풀리는”) 나뭇가지에 (조선시대 여자들이
저
고리 위에 덧입었던 예복의 치맛자락인) “당치마귀”를 잘라 스스로 “목”을 맨 그 여인(“젊은 계집”)을 “차마 잊지 못”합니다. 그러니 사내의 슬픔이 오죽했겠습니까. 그 애절한 마음을 대신하여 자연의 ... ...
[토요일에 만난 사람]“AI, 고차원 계산기일 뿐… 결국 사람의 판단이 가장 중요”
동아일보
l
2016.04.09
반전(反戰)평화 사상을 이어받았다. 연구실의 좌우명은 ‘과학자가 되기 전에 먼
저
인간이 되라’이다. “연구 성과는 오랜 축적의 산물입니다. 우연히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이 그 일을 해냈을 뿐이죠. 사카타 연구실의 축적된 연구가 없었다면 새 이론도 탄생할 수 없었죠.” 경 쟁보다는 협력, ... ...
인공아가미 ‘트리톤’ 개발은 사기?...크라우드펀딩 위험 피하려면 이렇게!
2016.04.09
보면 선거하고 크라우드펀딩하고 비슷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유권자도 후보들의 이런
저
런 약속을 보고 투표를 합니다만 공약을 지키지 않았을 때 할 수 있는 일이 다음 선거를 기다리는 것 말고는 별 게 없으니까요. Indiegogo 제공 그럼 킥스타터나 인디고고 같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후원자 ... ...
[설탕과의 전쟁] ‘초코파이 바나나’ 등 달달한 과자 열풍...건강에는 어떨까?
2016.04.08
‘액상과당(HFCS)’이 들어있습니다. 액상과당은 식품의 유통기한을 늘려주고 가격도
저
렴해서 식품업체들이 선호하지만, 건강에 매우 안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동물실험에서 설탕보다 액상과당을 먹었을 때 수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액상과당의 ... ...
단맛에 길들여진 청소년들… 비만-당뇨 만성질환 이어져
동아일보
l
2016.04.08
했다.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시의적절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
저
(低)당’ 식품의 표시·광고를 허용하면 자칫 영양성분이 불균형한 제품을 건강식품으로 포장해주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WHO가 최근 가공식품 당류를 통한 열량 ... ...
의료 현장에서 ‘VR’이 진통제로 쓰인다? 치유-회복을 위한 VR
2016.04.07
가상현실(VR)은 사실 최근 갑자기 등장한 기술이 아님은 앞서 설명 드렸습니다. 이미 게임,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오랜 개발의 역사를 지닌 VR은 의료 분야에서도 지난 90년대부터 과학자와 의료 전문가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협업이 이뤄져 왔습니다. 그렇다면 의료 분야에서는 왜 VR을 적용하려는 ... ...
우리 집 어디 갔어요? 살 집 잃은 청설모
2016.04.07
집을 지어 이사시켜 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네요. NeedMoreSun(imgur.com) 제공 그런데
저
동물이 청설모가 맞긴 한 걸까요? 숲길을 다니다 보면 나무에서 쪼르르 내려오는, 혹은 반대로 길가에서 나무로 쪼르르 올라가는 사진 속의 것과 같은 동물을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람쥐다!”라고 외칠 ... ...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_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과학동아
l
2016.04.06
필요합니다. 확실한 건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할 거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는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학생’을 키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풀어나가야 하니까요. 새로운 과학교육종합계획이 이런 인재를 키울 창의적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04
친구들을 도울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차에 책상 위의 펜이 눈에 들어왔지요.
저
도 쓰지 않는 펜들이 많았거든요. 안 쓰는 펜을 모아서 보내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학교 친구들의 펜까지 모았고, 해외에 봉사를 나가는 사람들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을 찾았답니다. 2009년부터 8년째 펜을 모아 보내는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