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서재현 △미디어부호화연구실장 강정원 △실감미디어연구실장 추현곤 △플렉시블
전자
소자연구실장 구재본 △디지털융합기획팀장 안창근 △도시·공간ICT연구실장 조영수 △DNA+드론플랫폼연구센터장 이문수 △농축수산지능화연구센터장 조성균 △의료정보연구실장 정호열 △국방ICT융합연구실장 ... ...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huc)’란 이름의 이 효소는 수소를 전류로 바꾸는 기능을 가진 것이 확인됐다. 초저온
전자
현미경(cryo-EM)을 사용해 효소가 기능하는 과정을 세밀하게 관찰한 결과 아주 적은 양의 수소로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효소는 인간이 숨을 쉬는 데 필요한 공기의 0.00005%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증거다.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들은 빛으로 통로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
전자
기법을 써서 심박수 증가가 불안감을 높인다는 가설을 입증했다. 심근세포막에 박혀있는 단백질(ChRmine)은 조끼에 달린 마이크로LED에의 빨간빛에 반응해 통로가 열리며 활성화돼 심박수가 높아지며 생쥐가 ... ...
메타버스 대중화 AI반도체 나왔다...GPU 대비 911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3차원 가상세계)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유회준 KAIST 전기및
전자
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3D 실사 이미지를 구현하는 AI 반도체 ‘메타브레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메타브레인은 사람의 시각적 인식 방식을 차용했다. 사람은 사물을 기억할 때 대략적인 윤곽에서 시작해 ... ...
태양광·물 있으면 청정에너지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결함 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산소 결함의 양에 따라 전하가 이동하는 원리를 광
전자
분광법과 전기화학적 분석법으로 규명해 광전극의 수명 연장과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결함 양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보호막 없는 광전극은 1시간 이내에 수명이 급격히 줄어들어 수소 생산 효율이 초기 ... ...
상온에서 3개월 보관 세계 첫 결핵 백신..."1차 임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유발하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 박테리아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세계 최초의 상온 보관 결핵 백신의 임상 1상 결과가 공개됐다. 높은 수준의 항체 생성을 유도하고 면역세포인 T세포까지 만들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7도에서 보관하면 3개월, 5도에서 ... ...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에 최영진 세종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업무도 수행한다. 최 본부장은 서울대에서 물리학 학사와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9년
전자
부품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다 2015년 명지대로 자리를 옮겼다. 2015년에는 세종대로 자리를 옮겨 근무 중이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으로 현재 활동 중이며 녹색인증위원회 위원장 등을 ... ...
[잠깐과학] 1913년 3월 6일 원자 궤도를 찾아낸 닐스 보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3.04
의미가 있습니다. 보어의 새로운 원자 모형에도 한계는 있었어요. 궤도 안에서 도는
전자
들에 서로 밀어내는 힘인 반발력이 작용하는데, 이를 설명하지 못했거든요. 이는 13년 뒤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보른에 의해 해결됐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DB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3월 1일, [이달의 ... ...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과학동아
l
2023.03.04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화를 모색하는 연구도 있다. 김대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기
전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데이터 센터의 네트워크 효율을 높여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김 교수팀은 2021년 10월 국제학술대회 IEEE/ACM에 네트워크 부하 수준에 따라 서버 프로세서의 전력을 ... ...
작은 로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해 뇌 신경망과 연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홍수 로봇·기계
전자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라종철 한국뇌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생체 밖 환경에서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해 구조적, 기능적으로 연결된 신경망을 구현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