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도"(으)로 총 2,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독]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동아사이언스 l2018.02.26
- 미착용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사고 학생의 지도교수는 “대학원에 진학한 뒤 2~3개월이 지나면 독립적으로 자기 실험을 하게 된다. 이번 사고는 물질의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구실안전법)’에 ... ...
- [그것이 궁금하드아④] 블록체인 진화의 끝은? 세대별 발전 과정 살펴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2.22
- 블록체인 기술도 세대별로 나뉩니다. 오늘은 초연결 사회의 숨은 공로자가 될지도 모르는 블록체인 기술 발달 과정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해 봤습니다. GIB ● 1세대 블록체인 비트코인, 초기 설계값 변경 불가 블록체인의 정체, 이제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한 번 ... ...
- 드론의 진화...군집 비행 다음은 ‘군집 장애물’ 회피동아사이언스 l2018.02.13
- 드론에게 장애물의 과거 위치를 저장할 일종의 기억력을 줬다. 이를 통해 드론은 마치 지도 없이 낯선 장소에 처음 온 사람이나 동물처럼, 주변 정보를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저장했다. 플로렌스 연구원은 “마치 머리 속에 긴 테이프가 있어서 본 영상을 다 저장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 ...
- 경주, 포항 강진 이어지는데 … 단층조사는 제자리동아사이언스 l2018.02.12
- 2016년 12월이다. 당시 지진 화산 재해 대책법 23조에 ‘활성단층 조사 연구 및 활성단층 지도 작성’이란 내용이 새롭게 포함됐고, 이에 따라 150억원의 연구비가 책정됐다. 행정안전부는 2017년부터 2041년까지 국내 전 지역의 활성단층에 대한 기초조사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 ...
- 인간과 겨뤄보자! 로봇들의 설원 질주동아사이언스 l2018.02.12
- 26.4초. 지난 사흘간 최종 연습 과정에서 로봇들의 최고기록은 16.9초 정도였다. 대한스키지도자연맹에서 발급한 레벨1 강사 자격증을 보유한 20년 경력의 스키어인 기자가 로봇 스키 경기 코스에 도전한 결과 기문 5개를 모두 통과해 결승선을 넘어서는 데 걸린 시간은 11.3초. 프로 스키어라면 1초 ... ...
- 3개월 만에 발생한 지진이 포항 지진 여진인 이유는?동아사이언스 l2018.02.11
- 것을 볼 수 있다. 포항 지진이 발생한 뒤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3.0 이상 지진을 지도에 표시했다. 빨간 점이 포항 지진이 발생한 위치며 파란색 별이 2월 11일 발생한 규모 4.6 여진이다. - 기상청 제공 포항 지진의 여진은 한동안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여진의 여진’도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 ...
- 대만 지진에 무너진 호텔, 아래는 ‘단층대’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점선으로, 호텔 위치는 빨간 점으로 표시돼 있다. - 대만 경제부중앙지질조사소 및 Google 지도 제공 이어 리 교수는 “대만은 1999년 이후 내진설계 기준을 최대지반가속도 0.33g로 의무화했다”며 “그러나 이번에 일어난 지진은 현지 최대지반가속도가 0.4g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 ...
- [필즈상 2018] 수학계의 샛별, 케플러 추측 푼 마리나 비아 조프스카 교수 수학동아 l2018.02.05
- 위성학술대회에서 찍은 사진. - 포스텍 제공 최 교수는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박사 과정 지도교수인 돈 재기어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함께 진행할 만큼 친분이 두텁습니다. 그래서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박사 과정을 밟을 때 여러 번 봤답니다. 하지만 이렇게 뛰어난 수학자인줄 그때는 미처 몰랐다고 ... ...
- 게르마늄 팔찌 효과가 국제학술지에? 명백한 허위 광고, 밝혀진 효능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8.02.03
- “일단 WJPR은 SCI 및 SCIE 등 국제 학술지 목록에 없다”며 “SCI 및 SCIE급이 아닌 학술지도 있지만 논문 내용을 몇 줄만 봐도 엉터리 ‘가짜 논문’ 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일단 저자가 소속된 'St. Joseph Hospital, German'이라는 곳도 찾을 수 없고, 주소도 불명확한데다, 논문에 독일 ... ...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걸쳐 삼돌이 사이토카인과 그 유전자에 대해 연구를 하셨는데요, 계기가 있으신지요. >> 지도교수이신 김철희 교수님께서 오랫동안 의학적 활용성이 높은 유전자들을 발굴하고자 노력해오셨습니다. 삼돌이는 2003년부터 연구실에서 시작한 ‘Golden Fish Project, 하얀물고기 프로젝트’ 과정 중에서 세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