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전에 방학 계획을 망칠 순 없지. 동해안 모래를 훔쳐간 범인을 찾아 모래를
다시
되돌려놔야겠어. 다 같이 범인 찾으러 출동~!동해안 80%는 이미 피해자현재 ... 바람과 파도에 의해 해안가의 모래가 육지나 깊은 바다로 빠져나가고
다시
또 쌓인단다. 모래가 빠져나가는 만큼
다시
또 채워지며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처음 생각해냈다. 그는 독일보다 성능 좋은 컴퓨터를 갖춘 미국에 가서 하켄과 만났다.
다시
말해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한 주인공은 아펠과 하켄이지만, 그 토대를 구축한 사람은 ... 것이다. 4색 문제는 인간의 두뇌를 통한, 보다 우아하고 단순한 증명을 기다리고 있다.
다시
영화로 돌아가보자.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난류 길들이기현재 연구 중인 핵융합 장치들의 에너지 가둠시간은 약 0.2~0.3초 정도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핵융합 장치의 보온성을 지금보다 10~20배 개선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고온인 플라스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잠깐 딸기 잼이 채워져 있는 도넛을 상상해 보자. 도넛 안에는 딸기잼이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번 키워보자.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이 진짜 실용취재과정에서 진짜 ‘실용’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됐다. 실용이란 오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받았지만 곧 동생이 대세가 됐다. 어디 가나 동생 이야기뿐이었다. 그러나 와신상담 끝에
다시
무대에 등장한 형의 이야기가 막 시작되고 있다. 토카막 핵융합 장치의 강력한 경쟁자, 이름도 어려운 ‘스텔러레이터’ 이야기다.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기적 가둠’ 방식은 1950년대에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보다 더 중요한 과정이 남아 있다”며 기자를 생산라인 옆방으로 안내했다. 또
다시
성기 모양의 금속봉이 수없이 달린 라인이 나타났다. 다른 점이라면, 이번엔 라인 중간에 ... 콘돔을 제대로 모르고 부끄러워 한다는 게 큰 문제죠.”공장을 나서는 길에 그 경비원이
다시
말을 붙였다. “멀리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나의 의견은 중요치 않았다. 자신의 기준만 중요했다. 아들이 얼마나 아픈지보다
다시
괜찮아질 수 있는지만이 그의 관심사였다. 완치가 안 된다면 병이 아니라 죄라고 생각했다.“선생님 그건 잘못 생각하시는 겁니다. 조현병은 아드님의 잘못이 아닙니다. 100명 중 한 명 꼴로 반드시 생기는 질병일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중압감이 컸죠. 토카막형 핵융합 장치는 각각의 단계마다 조립공정이 지나고 나면
다시
돌이킬 수가 없어요. 매 순간이 판단과 결정의 연속이었어요. 더구나 세계에서 거의 처음으로 진행하는 조립공정이다 보니 참고할 자료도 없었어요.”한국을 변방에서 핵심으로 이끈 주역케이스타는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궁금하네요. 가장 중요한 임무를 마친 필래는 기나긴 잠에 빠져들었어요. 필래가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고개를 저어요. 태양 가까이 다가갈수록 추리에게서 가스와 먼지가 많이 뿜어져 나올 텐데, 압력으로 필래가 튕겨나가거나 태양전지판이 먼지로 뒤덮일 가능성이 있거든요.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쓰레기를 처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재활용’이에요. 플라스틱을 모아서 녹인 뒤에
다시
필요한 물건으로 합성하는 거죠. 페트병은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와 성분이 ... 안에 이물질이 있으면 재활용할 때 힘들어요.플라스틱 재활용은 지구 사랑의 길여기서
다시
충격 고백을 해야겠네요.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