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결된 감지기(detector)로 보낸다. 여기서 광학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화돼 컴퓨터에
도달
되면 수록됐던 정보의 이름 크기 그리고 가격이 영수증에 인쇄돼 나온다. 화폐나 신용카드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비자카드 회사는 그들의 트레이드 마크인 비둘기를 사진과는 다른 앵글에서 세차례의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국내기술이 떨어지고 있으며 ATC를 비롯한 전기분야는 국내 기술이 일정 수준에
도달
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체 용접기술이라든가 대차 설계기술, 제동장치의 컴프레서 부분은 우리 능력이 뒤쳐지고 카티너리나 인버터 컨버터 등은 조금만 도움을 받는다면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띠게 된다. 즉 보관되는 동안에는 자체폭발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절대 임계질량에
도달
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일단 발사한 뒤에 목표지점에서 충분한 폭발력을 지니려면 임계질량을 초과해야 한다. 다시 말해 보관할 때에는 핵물질이 분산돼 있다가 목표지점에서 일시에 모아져야 하는 것이다. ... ...
환경오염으로 수난겪는 지중해의 바다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떨어진 곳에서도 이 식물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그 깊이까지는 햇볕이
도달
하지도 않는다.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폐기물을 바다에 버리면 플랑크톤이 이상증식해 햇볕을 차단해 버리기 때문이다.관계자들은 관광사업의 번창도 바다풀에게는 달가운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운송비용이 늘어남으로써 증가되는 손실은 향후 10년간 12조원이라는 천문학적 수치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그러나 정부관계자들은 96년까지 무역자동화만 이루어진다면 한숨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이들의 계획에 따르면 무역자동화에 의해 무역절차비용이 20%이상 절감되며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모양에 따라서 변화된 파장이 다시 사진건판에
도달
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사진건판에
도달
된 기준파와 만나서 간섭현상을 보이고 그 무늬를 기록한다(그림5). 복사품이 더욱 생생두 형태의 제작방식을 토대로 다양한 광학적 배열을 통해서 보다 진보적인 홀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지만 위에 보여진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도달
할 수 있기 때문이다.원자로에서는 우라늄 235의 농축도가 낮아 그대로는 임계상태에
도달
할 수 없다. 따라서 중성자의 외부누출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핵분열시 생성된 고속중성자를 열중성자라 불리는 아주 느린 중성자로 감속시켜야만 임계상태에 이를 수 있다(열중성자에 의한 우라늄 235의 ... ...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도 목걸이처럼 장신구의 하나가 되는 날이 올까.NEC(일본 전기)사의 연구진은 이 질문에 자신있게 고개를 끄덕인다. 도쿄에 있는 이 회사의 PC( ... 있는 동안 컴퓨터는 팔 부분에 있는 센서로 환자의 맥박과 혈압 체온 등을 확인해 병원에
도달
했을 때 응급처치 시간을 줄인다는 것이다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먼지처럼 작다. 따라서 정면으로 후려치면 살아남지 못하겠지만 기생봉은 뒷다리가
도달
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진딧물의 뒷발질은 결국 허사다. 그들은 진딧물의 등에 재빨리 산란해 버린다. 개미가 낌새를 알아채리고 구원병으로 달려왔을 때는 기생봉이 이미 날아가 버린 후다. 이처럼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렇게 높은 해수면은 현재의 극지방과 고산지대에 있는 빙하가 전부 녹는다고 하더라도
도달
될 수 없다는 점을 증거로 들 수 있다. 특히 귄즈와 민델간빙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육지의 심한 확장이나 축소현상이 발견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 해수면은 대홍수때 높아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