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깃거리
이야기거리
화제
화젯거리
d라이브러리
"
말거리
"(으)로 총 2,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연료전지보통 여러개의 연료전지가 겹겹이 쌓여있는 모습이다. (+)극과 (-)극 사이에 수소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질막(PEM)이 있다.최근 주목받는 원자력수소제조법원자력 발전에서 나온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과 고압가스냉각로에서 나온 열을 이용해 생산하는 열화학적 방식이 있다. ▼관련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우리 주위의 수많은 별들은 유순한 양떼처럼 소리 없는 운행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 별들 가운데에서 가장 아름답고 빛나는 별 하나가 길을 잃고 내려와 내 어깨에 머리를 기댄 채 잠들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별이 쏟아지는 선선한 가을밤에 다시 꺼내 읽고 싶어지는 알퐁스 도데의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일년 열두달이 한가위만 같으면 좋겠다. 하지만 한가위에 골치 아픈 곳이 있다. 바로 고속도로. 올해도 추석 연휴 동안 차량 행렬이 고속도로를 가득 메웠다.고속도로를 지나다 보면 같은 구간이고 차량 수가 비슷하더라도 어떨 때는 가다서다를 반복하고 어떨 때는 느리긴 하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약 4년 전 MBC에서 방영된 TV드라마 ‘허준’은 조선 광해군 시대의 임진왜란 격동기가 배경인 사극이다. 이 드라마는 어려운 역경 속에서 동의보감을 펴내고 어의로 크게 활약했던 실존 인물의 생애를 묘사해 당시 안방극장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1일 시청률 63.7%라는 역대 최고기록을 남겼으며,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올림픽과 스포츠과학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② 금메달 제조기 '스포츠 과학' 전신수영복의 원리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의 영향을 받아 흐르는 북적도해류 북대서양을 환류(環流)하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마음은 곧 개인의 정체성을 뜻한다. 사람에 따라 모두 다르지만 개인에게 있어 결코 변하지 않는 존재인 셈이다. 현대사회에서 마음이 다양한 상태로 표현되는 것은 비정상적인 병리적 행동이었다. ‘정신적 해리’ 와 유사한 상태, 즉 ‘다중인격’ (multiple personality)은 이런 마음의 일탈행위를 의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대부도 방조제로 갯벌의 생명력이 시들다 지난 7월 26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동아문화센터에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중·고교 생물교사들이 모여들었다. 대부분 초면이라 자기소개를 하면서 서먹함을 풀었다. 오전 10시 정각 교사들을 태운 버스는 경기도 안산 대부도를 향해 출발했다. 대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운동선수의 힘은 에너지 분자인 아데노신3인산(ATP)이 분해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단거리 주자는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ATP대사가 일어나는 무산소계에 의존해 에너지를 얻는다. 반면 장거리 주자는 지속적인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산소가 필요한 유산소계를 이용한다.▼관련기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올 추석에는 당일 밤 10시 9분 하늘에서 꽉 찬 보름달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운이 좋은 편이다. 보통 음력 8월 15일, 즉 한가위에는 항상 보름달이 뜬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음력의 한달은 29일 또는 30일이지만 보름달이 다음 보름달이 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정확히 29.5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기원전 2세기 무렵,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쿠스는 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분류하다가 신기한 별을 발견했다. 초가을 북쪽하늘에 높이 떠있는 별이 유난히 뿌옇게 보이는 것이었다. 그는 이 이상한 별을 어떻게 취급해야 할지 고민하다 구름 같은 별(성운)로 따로 분류했다.히파르쿠스의 기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