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에는 비밀번호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메일을 쓰거나 미니홈피에 사진을 올리려는데 비밀번호가 기억이 안 나 고생한 적 있나요? 미래에는 비밀번호를 치지 않고도 로그인을 할 수 있을 ... 인지 핑거프린팅 기술이 개발되면 기업과 국가는 해킹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개인은
복잡
한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답니다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했어요.그런데 전 경영학이나 경제학 전공자가 아니라, 수학자랍니다. 수학을 이용해
복잡
한 금융 세계를 정확히 예측하고 투자해 돈을 벌고 있지요. 제 자랑을 좀 해 볼까요? 전 1974년에 미분기하학의 지도자로 불리는 수학자 천싱셴과 함께 독특한 기하학적 측정법인 ‘천-사이먼스 이론’을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전장에서 탄착점을 빠르게 계산하기 위해 수학이 발전하기도 했다. 또 수학자들은 이런
복잡
한 계산을 간단히 하기 위해 표를 만들었다. 덕분에 병사들은 수학을 잘 몰라도 쉽게 탄착점을 알게 됐다.줄타기, 무게중심과 회전관성만 알면 쉬워!나는 기린 멜만과 함께 줄타기를 하지. 난 무거워서 ... ...
숫자로 이뤄진 세상, 통계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재밌는 동영상과 만화까지 있어 통계를 쉽고 재밌게 체험할 수 있다. ‘통계’라고 하면
복잡
한 계산과 딱딱한 표와 어려운 그래프가 생각난다. 하지만 통계는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통계청 홈페이지에 서 통계자료를 찾아 생생한 통계를 체험해 보자. 멀게만 느껴졌던 통계가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펼쳐져 있었다. 이런저런 초거대블랙홀에 대한 말도 안 되는
복잡
한 내용을 토론하면서 시끄러운 오리들이 많이 있는 연못에서 한참을 떠들었나보다. 어. 시계를 보니, 버스에 돌아갈 시간이 벌써 지났는데 우리를 부른다던 나팔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주위엔 아무도 없고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기계였다. 차분기관은 처음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작동하며 매우
복잡
한 값을 자동으로 만들어 내고 계산할 수 있었다.아마도 튜링은 각종 기계 장치들로 가득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알고리듬을 한 단계씩 수행할 수 있는 기계 장치인 튜링 기계를 생각해 냈을 것이다. ... ...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잘 만들어내지 못해 효과가 떨어졌다. 말라리아 항원은 3차원의
복잡
한 구조여서 인위적으로 만들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가격도 너무 비쌌다.반면 녹조류에서 찾은 단백질은 말라리아 원충이 가진 항원과 구조가 매우 비슷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싸다. 쥐에 단백질을 주사한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다른 힘인 강한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은 모두 여러 입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더
복잡
하다(중력은 아예 어느 입자가 전달하는지 아직 모른다).암흑물질 세계의 물리법칙이 우리의 물리법칙과 닮았다면 암흑전자기력을 전달하는 입자도 암흑광자 하나뿐일지도 모른다. 암흑광자를 발견해 연구를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욕심을 내고 있다.와편모류가 더욱 놀라운 것은 단세포 생물인데도 염색체나 DNA가 매우
복잡
하다는 점이다. 와편모류의 염색체 수는 250개 가량으로 인간의 약 5배에 달한다. 인간 세포 하나 속에는 염기서열이 약 30억개가 있지만 와편모류는 대다수 300억개가 넘는다. 최대 2900억 개가 있는 종도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현상으로 영국의 물리학자 틴들이 처음 연구해 틴들 현상이라고도 한다.[레이저는
복잡
한 영상은 표현할 수 없는 대신 색상을 빠르게 바꾸며 이동시킬 수 있다. 빅오쇼에서는 물고기를 테두리 형태로 표현한 단순한 영상을 사용했다. 디오의 물 스크린에 하나로 보이는 영상은 6개의 빔프로젝터가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