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
에 떨어진 물방울이 볼록렌즈의 역할을 해서 햇빛을 모아
식물
을 죽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나무는 어떻게 운반하는 게 좋을까. 길에서 종종 큰 나무들이 트럭에 실려 가는 걸 볼 수 있다. 이때 차가 달리면서 나무에 바람이 많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증산작용을 ... ...
떳다! 화석 삼총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화석이에요. 오경석 (대전과학고 2학년)곤충 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특별히 다른 동
식물
과 다르지는 않아요. 퇴적물이 곤충의 몸 위에 쌓여 만들어지는 거죠. 그런데 곤충은 크기도 작고, 동물처럼 단단한 뼈도 없어서 화석이 되기 어렵답니다. 게다가 완전한 형태로 발견되기는 더더욱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각종
식물
을 재배하게 된다. 장거리 우주여행에서 필요한 음식과 산소를 공급하는
식물
을 연구하기 위한 장치다.바깥과 20분 시간차장거리 우주여행을 하기 위한 격리 실험이 실시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이번 실험에 앞서 2008년 실시된 첫 격리실험에서는 6명이 15일을, 2009년 3~7월 진행된 ... ...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데 글은 한계가 있어, 직접 하나하나 손으로 그렸다. 그 뒤 수많은 생태학자가 동
식물
을 그림으로 남겼고, 현미경과 망원경이 탄생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세포나 분자에서 지구 밖에 있는 행성과 은하까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됐다.어렵고 복잡한 과학이 어떻게 그림 속에서 살아 숨 쉴까.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다르듯 몸속에 있는 장기도 사람에 따라 크기와 생김새가 다르다. 같은 사람이라도 음
식물
이 든 위와 배설물이 차 있는 대장은 식사를 언제 했느냐에 따라 다르게 생겼다. 그래서 메디컬아티스트는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크기와 생김새, 색깔대로 장기를 그린다. 예를 들어 정맥은 파란색, 동맥은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산화탄소를 엄청 내뿜지요. 자연에서는 잘 썩지도 않고요.그랬던 우리가 변했어요.
식물
의 세포벽에서 셀룰로오스를, 새우와 게 등껍질에서 키틴을, 세균에서는 플라스틱의 재료인 폴리유산 등 천연 고분자를 얻었거든요. 이 천연 고분자로 만든 플라스틱은 ‘바이오플라스틱’으로 거듭나 이제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먹이 싸움일 거야. 공룡나라는 화산 활동이 끊임없었기 때문에 화산재가 하늘을 덮으면
식물
이 잘 자라지 못하거든. 거대한 육식공룡이 사는 공룡나라에서는 많이 먹어서 몸집을 키워야 했지. 또한 몸의 온도를 지키기 위해서도 많은 먹이가 필요했어.학자들은 공룡이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의 중간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놀라운 능력이 숨어 있다. 산양은 독초를 빼고 거의 모든
식물
을 먹는다. 물론
식물
의 씨앗도 포함된다. 원래 헛개나무의 씨앗은종피(씨껍질)가 너무 두껍고 단단해 그냥 심으면 거의 발아하지 못한다. 하지만 산양이 먹고 배설물과 함께 배출한 씨앗은 발아가 잘된다. 산양이 씹고 소화를 시키는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댓잎을 먹는다. 영양가가 높고 빈속에 먹어도 탈이 없기 때문이다. 소나 말이 병들어 음
식물
을 먹지 못할 때도 약제보다 조릿대의 잎을 주는 것이 회복이 빠르다고 한다.우리 조상들은 대나무를 이용한 음식을 많이 해 먹었다. 죽재 속을 가로지르는 막이 있는 마디의 밑 부분을 자르면 그릇이나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만나면 그 사이의 이빨뭉치가 먹이를 맷돌처럼 갈아 버렸을 거야. 나무껍질처럼 거친
식물
도 거뜬히 씹을 수 있지.위 속의 돌공룡 화석에는 위가 있던 자리에 많이 닳은 돌이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걸 ‘위석’이라고 하는데 이빨이 잘 발달되지 않은 초식 공룡은 위석을 이용해 먹이를 잘게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