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가려내는 또하나의
연구실
이 있다. 사진의 조작을 밝혀내는 형사사진실이다. 사실 이
연구실
의 주요 업무는 좋지 않은 화면상태를 깨끗하게 복원해내는 일이다. 하지만 개인의 영리를 목적으로 사진을 위조하는 사례가 발생할 때 그 진위를 판단하는 것이 형사사진실의 몫이다.사진을 ‘간단하게’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복사해주고, 우주선 모형과 실물을 무상으로 대여해 주는 등. 필자는 교사자료
연구실
을 나오면서 입술을 깨물었다. 우리의 척박한 현실을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해 왔다.고생 끝에 워싱턴 DC에 있는 NASA 본부 출판사무국을 찾아냈다. 그곳 자료실 역시 다양한 홍보 및 교육자료들이 쌓여 있었다.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몸에서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조직공학이 해결의 실마리를 던져주고 있다.심장이나 혈관처럼 비교적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라 해도 인공적으로 만들어 몸에 이식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간이나 췌장처럼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라면 ... ...
국산 개인용 컴퓨터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0년대에는 우리가 그런 기회를 맞이한 것이다.나는 과학기술연구소에 전자계산기 국산화
연구실
을 만들고, 1977년에는 새로 생긴 한국전자기술연구소(KIET)에서 이 꿈을 이루려고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정부의 이해부족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 꿈을 이루기 위해 1980년 삼보컴퓨터라는 회사를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그는 항상 잘 되지 않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우듯 실험에 임했다. 그의
연구실
에는 세미나가 없었다. 대신 자주 실험실을 순회하며 학생들로부터 연구결과를 보고받고 지시를 내리곤 했다. 입자-파동 논쟁이제 J. J. 톰슨이 전자를 어떻게 발견했는지 살펴보자. 새로운 발견은 거인의 ... ...
인터넷에서 만나는 초과학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http://moebius.psy.ed.ac.uk/kpu.html)1984년 영국 에딘버러 대학 심리학과 내에 설립된 초심리학
연구실
홈페이지. 2명의 박사 후 과정연구원과 2명의 박사 연구원, 그리고 6명의 대학원생이 구성원이다. 초심리학을 미래의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으로 개발하는 이에 관심을 두고 있다.의식 연구 실험실 (http:/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있었다.시험 결과가 어떤지 궁금하다는 편지가 날아온 것은 한 달쯤 지나서 였다. 그제야
연구실
구석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는 상자를 열었다.1860년대에 ‘종의 기원’을 주장한 찰스 다윈은 미모사에게 나팔을 불어 주고 무슨 반응이 일어나는가를 지켜보았다. 그는 변화를 발견하지 못했다. 195 ... ...
명상하면 머리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기의학분과와 의대 미생물·면역학
연구실
,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뇌
연구실
의 연구원 4명이 만든 합작품이었다. 실험은 수련법을 어느정도 체득한 평균 25세의 10여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실험 결과 수련 후 알파(α)파의 발생 횟수가 크게 증가했다. 알파파는 마음이 편안하고 긴장이 ... ...
97년 이끌 컴퓨터 신기술 신경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잇따라 PC에 덧붙여졌다는 사실이다.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들을 수 없다면 PC는 아직도
연구실
에나 처박혀 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해 각종 멀티미디어를 즐기는데 가장 큰 장벽은 역시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제대로 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려면 우선 16비트 ... ...
3. 2004년 인간 설계도 완성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일본 등 기술선진국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휴고(HUGO, human genome organization)에서 국가간
연구실
간의 게놈연구를 조율한다. 50개 나라에 1천여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고 매년 모여 그때까지의 게놈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1996년 10월6일 현재, 휴고에는 6천2백89개의 유전자가 밝혀진 것으로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