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걸까요?미국 뉴욕주립대학교의 고든 갤럽 박사는 대학생 44명에게 하품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
을 보여 줬어요. 그 결과 절반인 22명이 하품을 따라하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하지만 아직 하품이 전염되는지 확실히 밝혀진 건 아니에요. 그래서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이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엣취!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임무 완수! 심호흡을 하면서 머리에 쓴 특수디스플레이 안경을 벗었다. 눈앞의 바다
영상
은 순식간에 사라졌다.700만t 빙산= 55만 명 1년 식수실제 태풍 현장을 방불케 하는 이곳은 프랑스 소프트웨어 업체인 다쏘시스템의 ‘3차원(3D) 시뮬레이션센터’다. 이곳에서는 아프리카에 식수를 제공하기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 또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폭풍 내부의 상대적인 기류 특성을 파악한다. 이러한 레이더
영상
에서 특히 갈고리 형태의 훅에코가 발달한 지역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하는 경향이 높아 예보에 많이 활용된다.기상위성이나 레이더 등의 원격탐사 관측 외에도 슈퍼셀의 내부를 관측하기 위해 폭풍이 ... ...
생명과학 - 암과 첨단
영상
진단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마다 전 세계적으로 1000만 건의 암이 진단될 정도로 현대인은 암의 공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 호에서는 암의 특징과 돌연변이에 의한 암의 발병 기작, 그리고 암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첨단
영상
진단 장치에 대해 살펴보자.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 심리학자들은 상대방의 마음을 파악하려면 눈동자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눈빛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해독하라고 조언한다. 사람의 표 ... 모으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꽃을 바라봐도 인간과 벌은 서로 다른
영상
을 보고 있는 것이다 ... ...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 AM-2011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바뀐다. 초점도 스스로 맞추기 때문에 간편하다. 얻은
영상
은 컴퓨터에 사진과 동
영상
으로 저장할 수 있다. 활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병원이나 미용실에서 피부나 두피를 진단할 때, 전자회사에서 전자회로를 관찰할 때, 위조지폐를 감별할 때, 곤충 등의 작은 동물을 관찰할 때 등 다양한 용도로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리고 그 장소로 지하를 골랐습니다.지하는 지상이 영하 30~40℃로 내려가도 항상
영상
15℃ 정도를 유지해요. 습도도 40% 정도로 적당하죠. 단층이 지나가지 않는 이상 흔들림이 적어 지진에 무너질 위험도 적어요. 어때요? 제가 계획한 지하도시 매력적이지 않나요?추위를 극복하는 지하도시캐나다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회전하는 상승기류가 있다는 증거예요.물방울 입자가 크고 회전력이 강한 부분은
영상
에서 붉게 나타난다. 훅에코는 폭풍구름 안에 강력한 메조사이클론이 있음을 뜻한다. 훅에코가 나타나면 토네이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기자: 토네이도를 빨리 만나고 싶네요. 아, 우박 떼는 더 이상 만나고 ... ...
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왼쪽 두 장은 첫 번째 부인, 오른쪽 두 장은 두 번째 부인의 모습이다. 연구팀은 이
영상
으로 미라의 사망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크다. 따라서 뇌의 여러 부위가 복합적으로 자극되기도 한다. 임 교수는 tDCS도 TMS처럼
영상
을 이용해 전극을 붙일 위치를 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MRI로 뇌를 찍어 위치 좌표를 정확히 정하는 방법이다. 그는 “연구에 성공한다면 tDCS는 많은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것”이라며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