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d라이브러리
"
유일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어떤 것은 길이가 71인치에 무게가 2백65파운드나 나가는 것도 있다. 바이칼 호수의
유일
한 포유동물은 바이칼 물개다.소련정부는 바이칼 호수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사실 바이칼 호수는 매우 독특한 지역이고 지구상에서 그와 같은 곳은 없다. 따라서 이 호수를 원래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불리는 멋진 별의 4중주를 형성하고 있다.그러나 엡실론 별이 이 별자리에서 볼 만한
유일
한 이중성은 아니다. 셰리아크(Sheriak, 거북이)로 불리는 베타(β) 별은 8등급의 푸른 별과 우유빛 주성이 어우러진 매혹적인 쌍으로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성은 그 자체가 13일을 주기로 ... ...
야구방망이 손잡이를 지나치게 꽉 쥐지 말 것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쥐었을 때 얼마만큼 힘을 주어 잡았는지에 상관없이 진동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유일
하게 바이스로 단단히 고정시킨 경우에는 진동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는데(그와 같은 진동패턴이라면 가볍게 홈런을 만들 수 있다) 안타깝게도 방망이를 그 정도로 단단히 쥘 수 있는 타자는 지구상에 없다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무게가 1.5kg 가량이며 매우 단단하고 무겁다. 그런데 이런 타조알을 먹을 수 있는
유일
한 독수리가 있다. 이집트 독수리인데, 이들은 어떻게 타조알을 깰 수 있을까?① 타조알을 공중으로 가지고 날아가서 떨어뜨려 깨뜨린다.② 공중에서 돌을 떨어뜨려 알에 맞혀 깬다.③ 부리로 돌을 문 뒤 타조알에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무료봉사하는 노처녀(35살)다. 이외에는 방학때 학생들을 아르바이트로 쓰는 것이
유일
하다.자연히 망원경 팔아서 남는 조그만 이익은 아미추어 천문가들의 뒷바라지에 쓰인다. 어차피 이 분야가 '밑빠진 독'이지만 돈버는 일에는 무능한 아마추어 천문가에겐 '사막의 오아시스' 이상이다. 현재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도래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제국의 소멸을 멈추게 하기는 이미 불가능한 일이었다.
유일
한 방책은 암흑시대를 1천년으로 단축시키는 것 뿐이었다. 그것이 바로 '파운데이션' 즉 새로운 문명의 근원을 설치하게 된 과정이었다.이러한 아이디어에 기초해서 아시모프는 제국붕괴후 1천년에 걸친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동전화시장의 20%를 차지하게 되었는가 하면 외국기업으로서는 일본전신전화사(NTT)의
유일
한 납품기업이 되었다. 모토롤라는 최근 두개의 신제품을 가지고 일본의 전기통신 경쟁사들의 거센 바람을 잠재웠다. 그중에서 이동용전화 '마이크로테크'는 양복주머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작은데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포카 시비리카(Phoca sibirica)라는 학명의 물개가 살고 있는데, 이것은 민물에 살고 있는
유일
한 물개라고 한다. 호수에는 또한 매우 풍부한 어족이 살고 있어서, 과거에도 오늘날에도 어업은 이 일대 주민들의 중요한 생계수단이 되고 있다. 퉁구스족의 터전오늘날 바이칼지역에는 수많은 민족이 살고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오래다. 이제는 미국도 일본을 가장 강력한 라이벌로 바라보고 있으며 일본 역시 미국을
유일
한 상대로 지목하고 있다.그렇다면 두 강타자의 한판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고 막을 내릴까. 물론 세계과학기술계의 현 챔피언은 미국이다. 2차대전 이래 줄기차게 롱런가도를 달리고 있는 미국은 기초체력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위해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4분야의 과학자 4명을 파견했는데 이휘소가 한국인으로서
유일
하게 선정된 것이다. 당시 이휘소는 "한국과학원(KAIS)이나 KIST같은 응용 위주의 기관이 산업의 초기단계에는 중요하다. 그러나 이제 한국도 일반대학원을 활성화시켜 기초연구를 강화할 단계"라고 지적해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