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100년 전 스페인 독감에서 코로나19 극복의 지혜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홉 번째 시리즈과학을 기다리는 시간강석기 지음 | MID388쪽 | 1만7000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하기 10개 ... 인류의 삶을 되돌아본다. 미술을 전공한 아내와 천문학자인 남편이 함께 그림 속에 숨겨진 흥미로운 천문학 이야기를 들려준다 ... ...
- [이달의 과학사] 바나나가 싼 이유가 이것 때문? 컨테이너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슈퍼에 가면 사시사철 바나나를 먹을 수 있어요. 신선한 데다 가격도 저렴하지요. 우리가 열대 과일인 바나나를 싸게 먹을 수 있는 건 ‘컨테이너’의 덕이 큽니 ... 낫거든요. 거기다 바나나는 오랫동안 보관하기에도 좋지요. 이것이 바로 바나나 뒤에 숨겨진 컨테이너의 경제학이랍니다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대해 ‘이그노벨상 맞춤형’이라는 이야기를 듣는 이유는 아마 사람들이 더러운 소재로 진지한 연구를 하는 것이 특이하다고 느끼기 때문일 거예요. 하지만 똥오줌에 관한 연구는 생물학, 의학, 환경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해요. 양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 중에 국제적인 똥 대란 현상에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010이에요. 그런데 드 브루인 수열에서는 010이 정확히 한 번만 나타나므로 3명이 가진 카드는 카드 뭉치를 섞기 전 010에 대응하는 카드인 각각 클로버 9, 하트 2, 스페이드 K가 되는 거죠.카드의 순서와 종류를 암기해야 하지만 형의 마술보다 훨씬 간단하죠? 마술을 더 신기하게 만들기 위해 팁을 한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에이즈·AIDS)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RNA가 약 1만 개의 염기로 이뤄진 것을 고려하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gRNA는 특이할 정도로 크다.gRNA는 숙주세포의 리보솜을 빌려 자신을 복제해 줄 효소를 생산한다. 효소는 gRNA를 주물로 활용해서 또 다른 RNA 가닥을 만들어낸다. 또 효소는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땀 같은 생체 정보도 계산에 반영할 수 있겠죠. 데이터를 충분히 쌓아서 정확도가 높아진다면, 사이코 패스에서처럼 범죄를 저지를 것 같은 사람을 사전에 억류할 수 있습니다. 사실 현실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폐쇄회로(CC)TV 영상을 분석해 그 안에서 수상한 행동을 찾아내는 ... ...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시간이 필요하거든요. 다행인 것은 메르스가 유행하던 2015년보다는 협업이 활발히 이뤄진다는 점이에요. 예측연구팀이 중앙대책방역본부에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니까요. 반면에 일본에서는 수학자가 코로나19전문가회에 직접 참가해요. 이처럼 우리도 수학자가 정책 전문가와 활발히 협력할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감자, 인공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병사들에게 낮에는 감자밭을 철통처럼, 밤에는 허술하게 지키게 시켰어요. 그러자 궁금해진 농민들이 밤에 몰래 캐가면서 감자가 널리 퍼졌다고 해요.실제로 탄수화물이 풍부한 감자는 가난한 농민들의 식량원이 되어주었지요. 사람들은 지금도 ‘감자 대왕’의 묘비에 꽃 대신 감자를 두고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닉네임을 표기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사람들이 분류한 사진을 이용해 관측 사진 속에서 초신성 후보를 정교하게 구분하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개발할 예정입니다.평생 한 번 볼까 말까 한 초신성을 보고, 초신성의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며,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도움 주는 일석삼조의 ... ...
- [이달의 수학자] 전쟁의 아픔을 수학으로 달랜 수학자, 김기항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추측은 공간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에 관한 문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력을 가진 추측이다.하지만 김 박사는 평생 그리던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채 2009년 1월 세상을 떠났다.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수학 연구로 달랜 그는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총 126편의 논문과 7권의 책을 집필했다. 2013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