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최소 기본 상수로 행동하려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1923년, 영국의 유명한 천체물리학자인 에딩턴(Sir A. Eddington)경은 이것이 일반상대론의 중력상수 G와 특수상대론의 광속인 c, 양자론의 플랑크 상수 h, 그리고 원자론의 양성자질량 m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무차원 숫자(dimensionless number)가 ...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가장 오래된 구상성단의 나이를 측정한 결과는 1백 40억-1백80억년으로 알려져 있다. 늙은 천체의 나이를 재는 방법에 대해서는 PART II '항성진화론과 우주나이'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부모보다 나이가 많은(?) 자식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허블상수를 알면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알 수 있다. ...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라는 제목의 그곳에서는 1994년 7월 16일부터 22일까지 발생했던 태양계 최초의 태양계내 천체간의 충돌에 대한 현재까지의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두고 있다.목차만 간략하게 훑어 봐도 다음번 목성에서 일어날 충돌이 1995년 12월에 발생할 것이라는 제트추진연구소의 4월 21일자 보고서를 ... ...
- 태양계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1930년에 발견 되었지만, 샤론은 1978년에 이르러서야 최초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두 천체가 서로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참고로 HST가 44억km 떨어진 명왕성의 표면을 관측하는 분해능은 64km 떨어진 곳에서 야구공을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샤론의 크기는 명왕성의 1/2인데, 명왕성이 2중 행성이라고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꼭 들어맞으면 숨은 보물을 되찾은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컴퓨터를 써본 사람이면 천체 위치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시의 상황을 컴퓨터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한 걸음 나아가 다른 자연현상에 관한 기록도 관심을 기울여 볼 수 있다. 우리의 고대사서들에는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phased antenna, 기계식으로 움직이지 않고 목표를 자동 추적하는 안테나로 동시에 여러 개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음)를 1천5백대 가량 연결해 건설한다면(어레이형) 충분히 외계에서 오는 전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이는 예산상의 문제로 탁상 계획에 머무르고 말았다.1971년에는 지름4 ...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과학동아 l1995년 05호
- OB형 별, 강착원반이 있는 쌍성계, 성간물질, 활동성 은하핵 등을 다룬다. 그러나 이런 천체들은 절대 자외선 천문학의 독과점 품목이 아니다. 천문학자는 여러 파장영역을 통한 관측을 통해 별이나 은하에 대한 종합진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사가 X선 촬영 결과만을 가지고 환자의 ...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M53, M104, M64). CCD의 크기는 512×512이며, 냉각에는 액체질소를 사용했다. 그럼 개개 천체의 모습을 자세히 익혀보자. M49:타원은하(E4). 전체등급은 8~9. 10㎝망원경으로 구상성단 또는 혜성의 핵처럼 나타난다.(Vir) M53:구상성단. 7.6등급. 아주 밝으며 10㎝ 망원경을 이용해서 1백20배로 관측했을 때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불편하게 한다. 그것은 과학자들에게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 점점 더 복잡한 천체의 메커니즘을 고안함으로써 태양계의 지구 중심관에 맞추었던 중세 천문학자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어긋나는 개념들의 혼란과 우주의 대부분의 것을 찾는데 대한 계속되는 실패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받은 윌리암 허셸은 18인치 망원경을 이용해 5천 79개의 별들(성운 성단 포함 )을 수록한 천체 목록을 발표했다. 그는 단순히 별들의 숫자만 센 것이 아니라 별들의 위치를 측정해 우리 은하가 어떤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를 그림으로 그렸다(그림1). 허셸의 시도 이후 우리 은하의 구조가 볼록렌즈의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