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면"(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자동번역 시스템 언어장벽이 무너진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인공지능측면에서의 한국어자연언어처리에 관한 연구도 시작되어 자연언어처리 측면에서의 한국어의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 예상된다. 불완전성을 극복하는 방법그러나 이와같은 각종 연구 및 개발 등에 앞서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컴퓨터자동번역시스템과 같은 보다 ... ...
- "정신적으로 강한 아이로 키우는 수밖에 도리없어"고3병의 대책과학동아 l1987년 02호
- 부족하다 '즉 사회성이 부족함을 보고하고 있다. 이것을 사회화과정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보면 과거의 전통적인 '엄부자모(嚴父慈母)'의 형태에서 '극성어머니와 무관심한 아버지'의 형태로 바뀌어 가면서 과잉보호되고, 독립성을 키우지 못하고, 의존심이 높아지며, 보다 이기적인 아동으로 ... ...
- BASIC강좌⑥ 응용의 첫걸음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입력과 출력양식을 명확하게 이해한 다음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다루는 알고리즘적 측면을 많이 다룰 것이다. 콤마(,)의 사용예BASIC프로그램에서 자주사용되는 기호로 콤마(,)가 있다. 프로그램에서 콤마 하나가 빠져 태양계탐사를 수행해야할 무인우주선이 영원한 우주의 미아가 되어버릴수도 ... ...
- 일본 첨단과학 견학기 놀라움과 새로운 각오의 일주일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조건들이 무척 부러웠다. 우주센터에 들러서는 미국과는 현저한 차이가 나는 여러 측면을 보았다. 모든 과학기술의 종합체가 우주개발분야라고 볼때, 일본에 비교되어지는 미국의 과학수준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음날은 디즈니랜드를 찾았다. 미국의 디즈니랜드를 모방했다는 그 곳은 가히 ...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과학동아 l1987년 02호
- 등의 순수자연과학 및 전자기계공학 전산학 등의 응용과학기술-의 수준 및 경제적 측면에서의 국력을 엿볼 수가 있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림1)에서 자동관측 로케트 항공기 부표 인공위성을 제외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통신 및 분석과정의 일부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근간 ...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과학동아 l1987년 01호
- 대기층으로 낙하하여 이런 결정이 생기는것으로 보인다.◇측면결정(側面結晶)각주의 측면이 평판같이 옆으로 뻗어나온 모양의 결정이며 흔하지 않다.◇운립(雲粒)부착결정거의 모든 눈결정에는 작은 물방울이 얼어붙는데 특히 많은 물방을이 얼어 붙어 있는 결정이다.지상에서 관찰되는 눈의 ...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7년 01호
- 진보의 페이스 차이가 나오는 것이다.이런 과당경쟁은 기술발전에 오히려 득이 되는 측면이 크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기술혁신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탄생보다도 원가하락과 응용제품개발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LSI, 컴퓨터 등의 성능당 원가가 5년에 10분의 1로 10년에 1백분의 1로 떨어진 것은 ... ...
- 심전도 데이타처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자동진단과 컴퓨터과학동아 l1987년 01호
- 이는 휴먼 오퍼레이터에 의한 ECG기록의 지루한 처리로 인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측면도 된다. 또한 보통의 전화선로를 이용한 장거리 진단처리도 가능하다.이와같이 ECG 진단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은 많은 가능성을 약속해준다. 그러나 컴퓨터화가 가져올지도 모르는 모순을 염두에 두어야 ...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과학동아 l1987년 01호
- 앞으로 상당기간 고전하지는 않을까요."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별차이가 없고 D램쪽도 이제까지 준비를 해왔으니까요. 즉 패스트2백56KS램 개발은 웨이퍼가공 등 전공정의 핵심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이번 패스트2백56KS램 제조기술은 곧1MD램 양산기술로 이어질 ... ...
- 지동설이 확립되기 까지과학동아 l1987년 01호
- 한가지는 시종일관 원운동만을 주장한 사실이고, 다른 한가지는 지동설을 운동이라는 측면에서 연구한 것이 아니라 수학적인 가설로 제출한 사실이다.그의 첫번째 약점은 '케플러'(Johannes Kepler;1571~1630)에 의해서 수정되었다. 1601년 근대 관측천문학자인 '티코 브라에'(Tycho Brahe;1546~1601)는 사망하기 전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