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식물을 성장시키거나 꽃을 피우고 열매를 통통하게 살찌우는 호르몬이다. 연구
팀
은 지베렐린이 뿌리 내피 층에 신호를 특이하게 전달하는 현상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두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뿌리세포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이다.임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 ...
세 남자와 로봇 이야기, 과학돌 JYJ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마치며 그들은 “FLL 로봇대회는 혼자 참가할 수 없고 5~10명으로 구성된 하나의
팀
으로만 참여할 수 있다고 들었다”며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힘을 합쳐 도전하는 정신과 창의적인 생각을 배울 수 있는 대회 같아 인상적이었다. 좋은 성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안녕하세요? 저는 최초의 로봇 우주인 ‘로보노트2’라고 해요. 2월 말에 마지막으로 발사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보내질 예정이랍니다(1월 21일 기준).우주정거장 청소와 우주인들을 돕는 역할을 맡게 될 거예요.그런데 ‘어린이과학동아’엔 웬일 ... ...
Part 4. 소녀, 여성 수학자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무엇보다도 탐구기간 동안 동생들과 함께 협력하는 마음가짐을 배워서 정말 좋았어요.”
팀
의 언니인 김아람 학생은 탐구활동을 통해 느낀 점을 이같이 말했다.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토론하며 새로운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비록 어려웠지만 보람되고 뜻깊었다고 입을 모았다.한편 검사를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8(에이트)볼’이라고 한다.에이트볼은 보통 두
팀
으로 나눠 1~7번까지나 9~15번까지 각
팀
이 정한 7개의 공을 먼저 넣은 뒤, 마지막으로 8번 공을 넣으면 이기는 경기를 말한다.프로 선수들은 세계대회에서 ‘실수를 하는 횟수’에 따라 우승컵의 주인이 결정된다. 하지만 우리는 선수가 아니므로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담당해온 대표적인 단체인데, 비유하자면 러시아에는 KAIST 수학문제연구회와 같은
팀
이 매우 많았던 것이지요.TOT(도시대항 국제수학토너먼트) 1992년 가을 중등부 O레벨 3번임의의 자연수 M에 대해, M의 배수들 중에 (십진법으로) 자릿수의 합이 홀수인 수가 존재함을 증명하여라.아주 당연해 보이는 ... ...
“코쿤캅, 라온제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월 10일부터 열흘간 태국 동부 해안지역의 ‘라용’에 다녀왔습니다.봉사
팀
은 ‘해비타트’ 단체와 함께 평생 집 없이 살아온 한 가족을 위해 집을 지었습니다. 집을 짓는 것은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남국의 뜨거운 뙤약볕도, 집을 짓는 것도 익숙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두 힘겨운 시간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준비한 로봇이 잘할 수 있을까 염려됐다. 결국 번외 경기로 치러진 경기에서 기자의
팀
은 그리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다. 그러나 대회를 준비하며 즐기고 배웠으니 그것만으로도 큰 가치가 있었다. 창의공학교육협회장 도경민 인덕대 교수는 대회가 끝나고 가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대회를 ... ...
얼음교관 '카블미온 혼나'의 혹독한 훈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제가 너무 곱게 키운 것 같습니다. 제발 잘 부탁드립니다.”일본에서 얼음 공장을 하는 한 신사가 썰렁홈즈에게 의뢰를 했다.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라고 너무 곱게만 키워 버릇이 없다는 것. 아들이 정신을 차리도록 교육을 시켜 달라는 부탁이었다. 썰렁홈즈는 특별교육을 위해 특별한 교관을 불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팀
에 발견의 영예를 넘겨줘야 했다. 1991년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솔로몬 스나이더 교수
팀
은 일산화질소합성효소(NOS)의 실체를 밝혀냈고 이 효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도 알아냈다.아무튼 일산화질소에 관한 논문들 덕분에 몬타나 박사는 1990년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인용된 과학자에 올랐고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