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확장
증가
증진
증설
연장
강화
d라이브러리
"
확대
"(으)로 총 2,04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가시광선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 응용기기도 망원경 현미경 사진기 등 눈의 능력을
확대
·보조하는 기구가 전부였다. 빛 그 자체에 대하여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것이다.흔히 빛이라고 하면 곧 그림자를 연상하게 된다. 그림자를 형성하려면 무엇보다 빛이 있어야 하고 또 이 빛이 직진하여야 하기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은 거의 모두 설명할 수 있으나 우주나 소립자 분야로
확대
될 때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다. 아인슈타인은 질량이 있으면 그 주변 공간에 어떤 일정한 일그러짐이 생기는데 여기에 다른 하나의 질량이 있으면 그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연세대 경희대 부산대병원 등 5개 대학병원과 제일병원 차병원 등 민간병원으로 잇따라
확대
됐으며 작년 3월엔 의원급 의료기관인 마리아의원(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소재)도 가세하는 등 급속도로 보편화되고 있다.시험관 아기를 탄생시키는 방법은 체외수정(IVF)과 나팔관수정(GIFT)법이 널리 ... ...
국내 HDTV 어떻게 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주사선수를 2배 늘리고(1천1백25) 화면의 가로 세로 비율을 3대4에서 3대5 또는 9대16으로
확대
시킨 HDTV는 높은 선명도의 화면과 서라운드형의 디지털 음향효과로 최소 35㎜ 영화를 안방으로 옮겨놓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HDTV는 안방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양과 질에서 기존TV와 비교되지 않는다. 예를 ... ...
청소년 과학화에 앞장서는 과학기술진흥재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정보를 알려주는 생활과학강좌도 새마을연수나 여성단체 소비자단체주최의 모임을 통해
확대
해가고 있다.진흥재단은 지난해부터 올바른 과학정책수립을 위해 국민들의 과학에 관한 의식조사도 시작했다. '과학과 사회'라는 주제하에 우선 과학이 경제 문화 사회풍토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 ...
슈퍼컴가동 1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국내에 슈퍼컴퓨터가 도입된지 1년이 지났다. 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센터는 지난해 12월 6일 '크레이2S' 슈퍼컴 가동 1주년 기념식을 가졌다.슈퍼컴은 초당 20억회의 ... 이와 함께 지난 1년간 슈퍼컴의 활용이 거의 대학과 연구소에 편중돼 산업체의 이용
확대
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
빌딩 자동화시스템(BAS) 컴퓨터로 제어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주차관리소프트웨어 및 식당이용관리 소프트웨어 등이 추가되어 서비스의 콕이 점차
확대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합관리체계로최근 국내 빌딩자동제어시스템의 기술동향은 각 업체별로 경쟁적인 시스템개발과 해외기술도입으로 매년 그 양상이 변화되고 있다.88년 초에만 해도 공기조화설비 ... ...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확산될 수 있도록 마인드확산에 힘쓰고 있다.컴퓨터의 이용이 우리 생활의 전영역으로
확대
됨에 따라 컴퓨터통신의 필요성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컴퓨터와 통신이 결합하는 전제조건으로 90년대 컴퓨터연구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개방형 컴퓨터의 원리와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프로토콜의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4계절을 망라해야 제대로 된 학술논문이 나와요. 아무튼 교수 학생간의 교류가 계속
확대
돼, 남북간의 이질감을 줄이고 통일을 앞당기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해요."인터뷰가 이뤄진 곳은 원교수의 널찍한 교수연구실이었는데 꽤 썰렁하게 느껴졌다. 그런데 화제가 '부자 조류학자의 새를 통한 교류'로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단세포생물의 자취가 발견된 것이다. 이로써 고생물학의 범위가 대략 35억년전으로
확대
되었다. 에디아카라(Ediacara)류라고 불리우는 이 단세포생물들은 80년대 이전까지만해도 캠브리아대폭발 이후의 생물의 형태를 보여주느 모델로 여겼다.즉 생물의 원조라는 얘기인데, 이는 점진주의의 시각에서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