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으)로 총 12,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NON 생태 사진 원데이클래스기사 l20201204
- 놓으면 원형구도,치우치면 삼분할 구도가 됩니다. 지금까지는 연구용일 경우의 이야기입니다. 만일 소장용이라면 더 예쁘게 나오도록 취향에 맞춰 필터를 설정하셔도 됩니다.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은 설정혹은 메뉴에 들어가서 필터에 들어가시면 필터는 약 3종류 입니다. ...
- 스펙트럼 수능버전포스팅 l20201202
- 스펙트럼:빛을 분광기에 통과 시킬 때 나타나는 띠 태양광선을 분광기에 넣게 되면 무지개 처럼 연속적인 색갈띠 가 나타나는데 이것을 연속 스펙트럼 이라고 한다. 보라색 쪽 으로 갈수록 빛의 에너지와 진동수 는 커지고 사람의눈으로 볼수있는 영역의 빛을 가시광 ... 있다. 그의 이름을 딴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독일의 대표적인 정부출연 국립 과학 ...
- 스테인리스 안전하게 사용하기기사 l20201130
- 물질인데 이건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딱딱해서 스테인리스를 깎을 때 쓰는 연마제로 사용됩니다. 근데 이 탄화규소는 국제 암 연구소에서 만든 발암물질 등급2A(발암성이 있다고 추정되는 물질)로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걸 그냥 마시는 것보단 없애는 게 좋습니다. 이걸 없애는 준비물은 휴지,식용유,베이킹소다,식초,세제가 필요합니다.이제 탄화규소를 없애는 ...
- 엘데포.특별한아이와 진실한친구이야기기사 l20201127
- 받고 집으로돌아옵니다. 하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닙니다! 뇌수막염은 시시의 청력을 사라지게 하죠. 그래서 시시는 보청기연구소에서 보청기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보청기는 시시의 말이 이상하게 들리게 합니다. 그래서 시시는 친구들 말을 잘 이해 못하죠. 그리고 시시네 가족은 이사갑니다. 그리고 오빠,언니는 그곳 친구들과 적응했지만 시시는 처음엔 ...
- 산업혁명 시즌1 제 5화포스팅 l20201126
- 트롯이 스피커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노래가 끝나자 이번에는 인공지능 뉴스가 나왔다. "영국에서 인공지능을 코 앞에두고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난 인공지능이 빨리 나오면 좋겠어. 죽기전에 한번 보게."내가 말했다. 어느새 주원이가 사는집(이라고 예상되는 집)에 도착했다. 그집은 엄청나게 안 좋지 않고 무지 좋았다. "너... 여기 사는거 맞아 ...
- 달걀이 먼저 생겼을까? 닭이 먼저 생겼을까?기사 l20201125
- 하는데 이 연구결과에 반발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닭의 조상과 닭의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도 아닌데요, 역시 영국의 다른 연구팀에 의하면 닭의 난소안에 들어있는 오보클레디딘-17 단백질이 탄산칼슘 입자에 달라붙어 결정체 형성에 촉매 역할을 하다가 결정핵이 스스로 자랄 수 있을 만큼 커졌을 때 떨어져 나가는 역할을 하는데 이 때문 ...
-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동물들 10 마리!기사 l20201124
- 자리에 대신 별이 있습니다. 그 별에는 손가락 모양의 돌기가 무려 22개나 있습니다. 이 두더지는 생긴 만큼 이상한 능력이 있는데요.연구에 따르면 별코두더지가 먹이를 식별하고 먹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0.2초이고, 눈앞에 있는 대상이 먹을 수 있는 건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데는 0.008초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또한 물속에서 냄새를 맡을 수 ...
- 새 연재 소셜 - 2020 1화포스팅 l20201123
- 현재는 이게 진실인가 추정하고 있지만 박사..... 삑 - 한수현 박사 : ? 만약 진실이라면 당장 조사를 해봐야하겠군, 바로 조사연구실으로 가야겠어! 기원 후 : 2015년 한국 서울 삐비비비비빅!!!! 홍길동 : 음냐음냐 세상에서 제일 싫은 소리는 역시 알람소리라니까 이 소리를 들으면 한동안은 잠을 못자잖아 하~~~~품 ...
- 제 2회 환경학술포럼 참석기기사 l20201121
- 연구원님이 장려상을, 박쥐 연구원이신 류흥진 연구원님이 미래지구상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이번 시민과학풀씨 연구 발표회는 저에게 정말 흥미롭고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런 기회가 더 자주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내년에도 시민과학풀씨가 계속 되고 더 많은 대원들이 참석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 ...
- 지구사랑탐사대 자주묻는 질문 (리더팀 피셜)탐사기록 l20201121
- 를 장만하셔도 됩니다. 나비 같은 경우 화질 좋은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가능한데, 매우 천천히 접근하시면 잘 찍힙니다. (추헌철 나비 연구원님이 언급) 또 하나 팁을 드리자면, 동영상을 찍은 뒤 캡쳐를 해도 잘 나옵니다. 6. OOO(탐사종)이 뭐죠? -조류: 새, 화분매개자: 꽃가루를 묻히고 다니면서 열매를 만드는 곤충 (벌, 나비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