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1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12
- 마찬가지로 과거의 움직임은 평면 아래의 과거의 원뿔에 나타난다. 원뿔 모선의 45° 각도는 민코프스키가 정한 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세계선이다. 빛보다 빠른 물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물체의 세계선은 원뿔 안에 있다.민코프스키는 스위스에서 아인슈타인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11
- 이를 정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변환한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가공된 사진을 기존의 사진과 비교하면서 가장 비슷한 사진을 찾아낸다. 페이스북에서는 향후 이 ‘딥 페이스’를 활용해 맞춤형 사진 분류, 광고 등 다양한 ...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수학동아 l201411
-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유리는 투명하면서 동시에 빛을 반사하거나 굴절시킨다. 그래서 각도와 모양에 따라 빛으로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다양하다. 금속 화합물을 섞어 유리가 색을 띠게 만들 수도 있고, 유리 표면에 색을 칠할 수도 있다. 뜨거운 액체 유리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모양도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11
- 부부는 2005년 하나의 내비피질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를 만드는 지점들이 일정한 간격과 각도를 두고 떨어져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 지점들을 이어보니 각 선이 60˚를 유지하며 6개의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매우 정교한 정육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었다. 장소세포에서는 볼 수 없던 격자무늬다.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10
- 책임연구원의 작품 ‘인간측정기’도 인상적이었다. 손가락 사이를 이용해 재는 각도에서 팔의 진동을 이용해 측정하는 시간까지. 과학자만의 상상력이 돋보였다. 가장 압권은 입으로 직접 물의 양을 맞추는 장면이었다.점점 서로가 친숙하게 느껴졌다. 예술과 과학 모두 아무도 가보지 않은 영역을 ... ...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수학동아 l201410
- 도움을 받았거든요.청심ACG수학대회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였나요?정해진 각도로 바라봤을 때 특정한 형상이 나타나도록 그림을 그려야 하는 ‘착시현상’ 문제가 있었어요. 그런데 한 곳에 서서 시선을 고정시키고 그림을 그리려니까 몸을 움직일 수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방금 서있던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10
-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다. 그런데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면 미리 움직임의 거리와 각도 등을 시뮬레이션해 보면서 가장 안전한 동선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화산이나 극지, 심해 등 실제로 촬영이 어려운 장면을 가상의 공간으로 재현하고 영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이를 위해서는 두 발로 걷고, ... ...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409
- 때문이다. 연속된 세 점마다 특정한 각도로 선을 고정시켜 만든 ‘링크 체’는 고정된 각도 안에서 선을 풀어 헤치면 어떤 글자인지 한눈에 알기 어려워진다. 에릭 드메인은 “사람들이 이 서체와 함께 재미있게 놀수 있으면 좋겠다”며, “아버지와 나는 정말로 퍼즐을 사랑한다. 우리가 만든 ...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과학동아 l201409
- 행성-행성 산란도 더 많이 일어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행성 궤도도 마구 변하고 경사각도 다양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엔 다양했던 경사각이 뜨거운 목성이 됐을 때는 왜 큰 경사각만 남게 됐을까.별의 내부는 중심에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핵이 있고, 바깥으로 핵에서 생산된 에너지가 복사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09
- 1만 8000개의 진공관으로 작동하는 기계로, 대포나 미사일을 발사할 때 탄도 거리와 각도 계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개발됐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였던 존 모틀리와, 졸업생인 존 에커트가 미국방부 연구소와 계약을 맺고 연구하던 중 탄생했다. 두 사람은 일명 ‘자동 기계’를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