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옹이
나비
고냉이
괭이
나비야
늙은 암코양이
소녀
d라이브러리
"
고양이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11
편도체 부위를 약하게 전기로 자극하면 환자는 공포를 느낀다.편도체가 망가진 쥐는
고양이
앞에서 잡혀 먹힐 때까지 장난을 친다. 이것을 보면 선천적 공포인 죽음의 공포 역시 편도체가 관여하는 것이 분명하다. 다만 편도체에 죽음의 공포가 각인된 것인지, 아니면 대뇌의 다른 소기관에 각인된 ... ...
양파가 백합이라고? 꽃을 보면 알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
오늘 들에 나갔다가 예쁜 꽃을 봤어. 하얗고 작은 꽃 여러 개가 동그랗게 모인 모양이란다. 이렇게 예쁜 꽃을 어떻게 나 혼자 볼 수 있겠어. 우리 ‘어 ... 빈혈을 일으키거든. 양파뿐 아니라 백합과 식물은 같은 영향을 주지. 그러니까 옆에 앉아 있는
고양이
에게 생각 없이 음식을 주면 안 돼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09
양자역학에서는 ‘중첩상태’라고 한다. ‘살아있는 동시에 죽어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 가 중첩상태의 유명한 예다.간섭계의 끝에 있는 2개의 검출기(A와 B)에서는 다시 한번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마지막 분광거울을 지난 광자가 각각 50%의 확률로 A와 B에 도착해야할 것 같다. 하지만 광자는 ... ...
INTRO. 인간과 말 가장 아름다운 진화
과학동아
l
201208
교과서 진화론 내용 삭제 논란으로 시조새와 함께 말의 진화가 화제가 됐다.
고양이
만한 동물이 몇 단계를 거쳐 몸집이 커지고 발가락수가 줄면서 오늘날 말이 됐다는 교과서의 서술 내용이 틀렸다는 것이다. 사실 학계에서는 이미 ‘점진적인 직선형 진화’로 불리는 이 모형을 더 이상 쓰지 않지만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08
약 5500만 년 전 에오세 초기에 나타났다. 4개의 앞발가락과 3개의 뒷발가락을 가진
고양이
만한 동물이다. 이 시기 전 세계 기온은 오늘날보다 평균 5~10℃가 더 높아 북미대륙은 브라질의 정글처럼 무덥고 습한 아열대 기후였으며 나무가 울창한 숲이 발달했다. 이런 환경에서 출현한 하이라코테리움은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
과학동아
l
201208
먹이는 물고기·곤충·물풀 등이다. 새끼는 3년쯤 자라서 어른새가 된다. 울음소리가
고양이
울음소리와 비슷하다. 물고기떼가 있는 곳에 잘 모이기 때문에 어장을 찾는 데 도움을 주어 예로부터 어부들의 사랑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집단 번식지인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 면·난도(卵島), 경상남도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07
비슷한 외모를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포사는 여우원숭이들을 잡아먹기 위해
고양이
과 동물의 생김새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이렇듯 마다가스카의 생물은 오랜 기간 다른 대륙과 떨어져 독특하게 진화했다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유도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게 연구팀의 고충이다. 김대건 연구원은 “쥐나
고양이
등을 우리가 원하는 목표지점으로 가게 하려면 먹이를 갖다놓으면 된다”며 “그러나 이번 실험은 어떻게 국지적으로 조종할 수 있을까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별도 훈련 없이도 장비만 동물의 몸에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07
닉슨 대통령 시대부터 모아온 신문지 더미, 길거리에서 주워온
고양이
들, 혹은 다 먹은
고양이
용 캔이 여기 저기 굴러다니는 모습 등이 나온다. 이는 국내 매체에서도 종종 보는 모습이다.특정행동을 반복하게 하는 뇌뇌과학에서는 이러한 저장강박증을 뇌기능 장애로 설명하고 있다. ... ...
말은 원래
고양이
처럼 작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6
언제부터 말을 탔을까요? 아주 먼 옛날에는 말이
고양이
처럼 작았다고 해요. 미국 네브래스카대학교 로스 스콜드 교수(사진)는 와이오밍에서 발견된 말의 이빨화석을 연구해 몸무게가 5.6kg 밖에 되지 않았을 거라고 밝혔어요. 그럼 말이 어떻게 지금처럼 커질 수 있었을까요?과학자들은 기후변화에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