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
과학동아
l
201402
과학자’가 아닌 ‘평범한 민중’이 과학의 진보에 훨씬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교과서
나 위인전기, 과학서적을 통해 읽은 과학자들의 영웅담은 단지 신화일 뿐이라고. “남들보다 멀리 볼 수 있었던 뉴턴의 능력은 자신의 주장처럼 그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앉아 있어서가 아니라, ... ...
똑똑한 게임 즐거운 공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3
10일 동안 온라인게임을 활용한 영어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내용에 맞게 온라인게임을 변형해 학생들은 영어로 미션을 수행했지요. 그 결과 게임을 활용해 공부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영어 단어 시험 성적이 평균 14점 높았고, 중간고사 영어시험 점수도 5점 이상 높게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과학으로 푸는 ‘레오 미스터리연구소’,
교과서
속 과학을 쉽게 가르쳐 주는 ‘과학
교과서
뛰어넘기’, 우리나라 곳곳의 자연과 생물을 소개하는 ‘다운이 가족의 생생탐사’, 최신 과학뉴스를 재치 있게 들려 주는 ‘과학특파원 황당맨’, 키스트의 멋진연 구를 훔치듯이 밝혀주는 ‘특명! ... ...
전통놀이 연구 동아리 ‘한·설·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8
탱그램(Tangram)이라는 이름의 비슷한 놀이가 있다. 1980년대초부터는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
에 소개해 도형을 이해하는 교구로 사용하고 있다.미션2 힘을 겨뤄 넘어뜨리는 씨름“두 번째 놀이는 씨름입니다. 씨름은 아주 오래 전부터 시작한 힘겨루기 경기죠.”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씨름과 비슷한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12
없어요. 계속 주의와 연구가 필요한 이유죠.”아직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에는 스트레스가 ADHD의 원인이라는 내용은 없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지금도 한창 연구가 진행중인 분야이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도 쌓이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스트레스에 의한 ‘유사 ADHD’ 가능성도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11
되려고 했다. 그러나 대학교에서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의 분자생물학
교과서
를 읽고 나서 생명과학자의 길로 들어선다. 대학을 졸업할 때 이미 ‘네이처’에 논문 한 편, ‘분자생물학회지’에 논문 2편을 발표해 어린 천재로 유명했다.랜디는 1974년 대학원생 시절 처음으로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
수학동아
l
201311
식을 ‘제한조건’이라고 한다.지금까지 이런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 원리는
교과서
로만 배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장 교수팀은 원하는 형태의 모형을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레고 에듀케이션의 ‘마인드스톰’을 수업에 활용했다. 마인드스톰은 레고 블록에 모터와 ... ...
수학은 우리의 VIP! 북일고 Math VIP
수학동아
l
201311
녹아 내리는 일도 있었어요. 모든 게 다 처음이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죠. 하지만
교과서
밖에서 새로운 수학 개념을 배울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답니다! 송재경(2학년)‘Math VIP’의 꺼지지 않는 수학 사랑!올해 남은 시간은 불과 두 달. 하지만 Math VIP 동아리원들은 그 시간도 수학으로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11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수용하는 열린 눈을 가지세요. 자연은 종종
교과서
나 논문 밖에서 새로운 사실을 이야기합니다.”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영국의 분자생물학자 리처드 로버츠 박사는 이번 미래과학콘서트에 참여하게 된 소감을 묻는 기자의 이메일에 이렇게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실제로 그렇게 했다. 어린 시절부터 지행합일의 경지에 다다른 셈이다. 친구들이
교과서
라고 놀릴 정도였다. 한국인이 아니라 지구인이다노 교수는 학창 시절 장래 희망이 ‘부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만의 기술을 개발하고 강점을 가져야 나중에 사업을 해도 성공할 수 있다고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