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수
십자선
저울눈
d라이브러리
"
눈금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02
것에 따라 밤 시간의 경점을 치는
눈금
자와 구동장치를 하나 더 배치했다. 물론 이
눈금
자는 절기에 맞추어 바꾸어주었다.기술시대의 서곡보통 물시계에서 시간 측정은 물 양을 재는 것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자격루에는 물의 양을 신호로 시침이 건드려 떨어뜨린 쇠구슬 하나가 수많은 기계장치를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01
읽으면 된다. 시각선은 절기선과 교차하고 있으므로 그림자가 떨어진 지점에서 절기선과
눈금
선을 동시에 읽으면 그날의 절기와 당시의 시각을 정확히 읽을 수 있다. 이것은 그림자를 읽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천구상에서 태양의 연주운동의 위치와 일주운동의 위치를 동시에 읽는 것과 동일하다.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아이스크림은 25-30℃사이에서 가장 많이 팔린다. 이 온도에서는
눈금
하나가 그야말로 돈이다. 1℃에 따라 수억원씩 판매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30℃를 넘어서면 오히려 아이스크림 시장은 시들해진다. 이땐 사람들이 얼음이 많이 섞인 빙과류나 음료를 더 선호한다. ... ...
파동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09
붙이고 C판을 붙인다. 무아레 무늬 자 이용하기① cm와 mm단위의 물체 길이는 자의
눈금
으로 읽는다(17mm).② mm단위로도 읽을 수 없는 남아있는 물체의 길이는 무아레 무늬를 읽어서 알 수 있다. 가이드를 물체의 끝까지 이동시키면서 창 안에서 이동한 무아레 무늬의 수를 센다.③ 무아레 무늬가 1개 ... ...
① 한눈에 보는 한강의 다리
과학동아
l
199807
석수들에게 네모꼴로 다듬게 한 다음 그 석주에다 한척(당시의 한척은 21.78cm)마다
눈금
을 새긴 다음 이를 개천의 한복판에 세워 놓고 평시와 홍수시의 수위를 측정했던 일종의 수위계였다 ... ...
파이(π)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06
수 없는 π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Euclid, 기원전 300년경)가 말하는 작도라는 것은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도형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자로는 임의의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을 그릴 수 있고, 컴퍼스로는 주어진 중심과 반지름을 갖는 원을 그릴 수 있다.이처럼 간단한 도구만으로 그릴 수 있는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05
어는 온도를 273.15 K로 하고 물이 끓는 온도를 373.15 K로 하여 그 사이를 1백등분한 온도
눈금
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섭씨 20도인 상온은 겔빈 온도로 나타내면 293.15 K이다.6. 물질량 : 물질량의 단위는 몰(mol)이며 탄소 (12C)의 0.012 kg중에 있는 원자의 개수(6.02*10 23개)와 같은 수를 포함한 계의 ...
커피가 가득한 잔에 설탕을 넣으면
과학동아
l
199803
때 사용하는 결정형 설탕이야. 슈퍼에 가면 살 수 있어.""그래, 그것도 사오고 학교에서
눈금
실린더와 저울도 빌려와 정확하게 해 보자." 다음날."여기를 봐. 정확하게 물 95mL를 담았어.""그러면 얼음설탕 5g을 넣어 보자.""얼음설탕이 녹기 전에 부피를 읽으면 얼음설탕만의 부피를 알 수 있겠지?""음 ... ...
과학원리의 만물상 자동차
과학동아
l
199803
자동차는 연료 상태가 막대그래프로 표시되기도 하고, 속도계가 숫자로 나타나는 디지털
눈금
판으로 되어 있다. 심지어는 차에 대한 여러 가지 상태를 문자로 알려주기도 하며,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표시해 주기도 한다. 에너지 창출과 변신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먼저 키를 돌려 시동을 걸어야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11
함께 떨어진다. 발밑에 체중계가 있다면, 체중계에 힘을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체중계의
눈금
은 0이다. 동전을 떨어뜨려도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7초 정도의 짧은 순간이지만 무중력 상태가 만들어진다.인공위성의 원리를 이야기할 때 “지구로 영원히 낙하하고 있는 중”이라는 표현을 자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